골감소증 단계서 골절 더 많아…적극 관리해야

중년 여성들의 뼈 건강을 위한 치료에 소극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골다공증학회 등이 50대 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전체 응답자의 99%가 골다공증에 대해 알고 있다고 대답했으나 골감소증의 경우 62.4%만 알고 있었다. 골감소증 또는 골다공증 진단 후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는 13.5%밖에 되지 않았다. 또 응답자의 38.4%만이 1~2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골밀도 검사를 받고 있어 조사에 응한 50대 여성들은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결과는 최근 최근 질병관리본부에서 발표한 <골다공증 유병률 및 관리현황>의 내용과도 일맥상통하는데 그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골다공증 치료율은 10.8%로 골다공증 유병자 10명 중 1명만이 진단 후 골다공증 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은 특별한 증상이 없는데다 통증을 수반하지 않아 골절이 생기기 전까지는 알기 어렵다. 그러다 골절이 되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일상생활에도 심각한 불편을 유발한다. 골다공증성 골절에 대해서는 조사에 응한 여성들의 상당수(78.8%)가 그 위험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약 60%는 주변 지인이나 친척들이 골절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는데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에 대한 인지도는 주변 지인이 골절경험이 있는 경우(86.8%)가 그렇지 않은 경우(67.3%)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었다.
한편, 골다공증성 골절은 골감소증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60세 이상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전체 골절 발생 중 56.5% 가 골감소증 환자에서 발생했으며 26.9%가 골다공증 환자에서 발생했다.
따라서 골절 예방을 위해서 골감소증 단계에서의 적극적 관리가 필요하다. 적절한 운동과 칼슘, 비타민 D의 섭취, 금연, 절주, 카페인 및 나트륨 섭취 제한 등을 해야 한다. 또 정기적으로 골밀도 검사를 하는 것도 권유된다.
생활요법과 더불어 약물요법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국내 골다공증 진단 및 치료지침에서는 고관절 골절 혹은 척추 골절이 있는 경우, 골다공증인 경우, 골감소증의 경우는 과거 기타 골절이 있는 경우 등에서 약제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이미 골다공증인 경우에는 뼈가 부러지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하고 의사와 상의해서 적절한 치료약제를 선택해 질환을 잘 관리해야 한다. 골다공증에 사용되는 약제로는 여성호르몬,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 비스포스포네이트, 부갑상선 호르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