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성장을 늦춰주는 '자연살해세포'가 암 환경에서 감소하게 되는 이유를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강창율 교수와 박영준 박사 연구팀은 이 내용의 논문을 미국 암학회가 발간하는 저널 '캔서 리서치'(Cancer Research) 온라인판 표지논문으로 게재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암이 진행되면 암 성장을 억제하는 자연살해세포가 감소하고 면역세포를 억제하는 '미분화골수성세포'는 급격히 증가한다는 것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자연살해세포와 미분화 골수성 세포의 음의 상관관계를 자연살해세포가 미분화골수성세포로 변하면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가정했고, 실제로 암에 걸린 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이를 규명했다.

또한, 연구팀은 실험 결과를 토대로 자연살해세포를 활성화하는 체내 단백질의 일종인 'IL-2'를 암이 걸린 실험용 쥐에 주입했을 때 자연살해세포가 미분화골수성세포로 변화하는 것이 억제돼 결과적으로 암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도 확인했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로 IL-2의 새로운 항암 기능을 밝혔다"며 "항암치료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공공복지안전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연살해세포의 감소를 막는 치료법을 개발하면 암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