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로 만든 약, 처방전 없어도 구입 가능

우울증약이 처음 나온 것은 1950년대 후반이다. 이때의 약은 화학구조가 세 개의 고리가 맞물려 있는 형태라 삼환계(三環系) 항우울제라 부르는데, 가슴 두근거림, 입마름, 변비, 체중증가, 기립성 저혈압 같은 부작용이 심했다. 1980년대의 SSRI(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이런 부작용을 크게 줄였다. 뇌세포가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같은 감정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면 주변에 있는 세포가 이를 흡수해 신경신호를 전달하는데, SSRI는 세로토닌 신호가 잘 전달되도록 작용한다. SSRI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푸로작(릴리)이다. 미국에서는 화장지 브랜드인 크리넥스보다 인지도가 높기도 했다. 최근에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신호를 잘 전달시키는 약(SNRI)도 개발됐다. 그런데 이 약들은 삼환계 항우울제의 부작용은 줄였지만 성욕 감소나 지루증을 유발하기도 했다.
1990년대 들어서는 '세인트 존스 워트'라는 허브 추출물로 만든 약도 개발됐다. 국내에서 나온 노이로민(유유제약)도 그 중의 하나로,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세인트 존스 워트'는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막아 우울, 불안, 초조 증상의 개선 효과가 있으며 부작용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럽에서는 2000여 년 전부터 널리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