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조선일보 DB
과다한 햇볕노출이 인체의 면역기능을 저하시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피부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뉴스가 잇따르자 최근에는 실내에서의 인공선탠이 더욱 유행하고 있다. 태양광선에 직접적인 노출은 피하면서 건강미 넘치는 다갈색 피부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실내 선탠은 직접적인 햇볕노출보다 정말 안전할까? 그렇지 않다.

인공램프에서 발산되는 인공자외선은 태양광선에서 발산되는 자연적인 자외선보다 오히려 그 방출량이 2배 이상 많아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더욱 크다는 사실이 학회에 보고되고 있다.

태양광선에 의한 자연선탠은 UVA와 UVB에 의해 진행되지만 인공선탠은 UVA만으로 이루어진다. UVA는 피부의 탄력을 담당하는 세포들을 파괴해서 탄력을 감소시키고 색소세포를 자극해서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을 만들어낸다. 햇빛에 의한 색소침착이라면 시간이 지나면서 없어지지만 인공선탠에 의한 것은 아무리 치료를 해도 완전히 없애기 어렵다.

인공선탠이 더욱 문제가 되고 있는 까닭은 전문지식 없이 선탠을 시행함으로써 선탠의 적정시간, 최대 노출량, 위험사항에 대한 의무규정 등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나마 미국에서는 각 주별로 인공선탠에 관한 법률이 있어 안전기준이 마련되어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인공선탠에 관한 아무런 법적 기준이 없어 위험 앞에 완전히 무방비 상태다. 또 일반 선탠용 자외선기는 일정한 파장과 강도를 정밀히 조절할 수 있는 의료용 자외선기와는 달리 정밀한 테스트를 받지 않기 때문에 나오는 빛의 파장이 일률적이지 않다. 때문에 인공선탠 역시 자연선탠과 마찬가지로 인체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건선 같은 피부병 치료 등 부득이한 경우가 아닌, 미적인 효과를 위해 일부러 자외선을 쬐는 것은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만일 꼭 인공선탠을 해야 한다면 먼저, 광알러지 테스트를 받는다. 사람마다 빛에 대한 반응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선탠시간은 하루 10분씩 일주일에 2회 정도가 적당하며, 1년에 총 30회를 넘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꼭 인공선탠을 원한다면 피부관리실이나 실내선탠실이 아닌 의료용 자외선 선탠기를 가지고 있는 병원을 찾아 인공선탠을 하는 것이 안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