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조선일보DB

24일은 ‘잇몸의 날’이다. 올해로 4회를 맞는 잇몸의 날은 잇몸의 중요성과 잇몸 관리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대한치주과학회가 만들었다.

특히 잇몸은 임플란트를 오래 쓰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밑거름이다. 잇몸이 무너지면 한마디로, ‘사상누각’이 되기 때문이다. 목동중앙치과병원이 임플란트 환자 200명을 검진해보니 10% 안팎은 시술 후 관리에 소홀해 염증이 생겼다.

◇잇몸병, 완치 없는 만성질환
2010년 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잇몸병 유병률은 22.9%다. 성인 4~5명 중 1명 꼴로 잇몸병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잇몸병(치주질환)은 치아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잇몸, 잇몸뼈, 치주인대 등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잇몸병은 염증이 잇몸(치은)에만 생기는 치은염, 치은염이 심해져 잇몸뼈에까지 염증이 번진 치주염으로 나뉜다. 치주염으로 인해 잇몸뼈가 녹아내리면 최악의 경우 치아를 뽑게 되고, 발치한 치아를 대신할 임플란트를 심게 된다. 인공치아인 임플란트를 하면 충치가 생기지 않을 것이라 안심하기 쉽지만, 잇몸병에는 취약해 더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임플란트 환자는 원래 잇몸이 약한 경우가 많고, 임플란트에는 자연치아처럼 통증을 느끼는 신경과,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염증 억제하는 치주인대가 없기 때문이다.

잇몸병 중에서도 임플란트 주위에 염증이 생겨 잇몸뼈가 녹아내리는 잇몸병을 임플란트주위염이라고 한다. 목동중앙치과병원이 최근 검진을 받은 임플란트 환자 200명을 조사해보니 이중 12%인 24명에서 임플란트주위염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플란트주위염 환자의 흡연율(과거 또는 현재 흡연)은 66.7%(16명), 음주율 79.2%(19명)으로 임플란트 시술 환자의 흡연율 42%, 음주율 57.5% 보다 각각 24.7%p, 21.7%p 높았다. 흡연과 음주가 임플란트주위염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목동중앙치과병원 변욱 병원장은 “임플란트 시술 후 병원에 검진을 온 환자 대부분은 전혀 관리를 하지 않거나 소홀히 하고 있었다”며 “잇몸병은 치료한다고 해도 관리하지 않으면 얼마든지 재발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를 한 사람은 잇몸 건강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잇몸병이 없는 사람은 잇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잇몸병이 있는 사람은 자연치아를 지키기 위해서, 임플란트를 한 사람은 임플란트를 오래 잘 쓰기 위해서 잇몸 관리를 해야 한다. 잇몸병은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과 같이 완치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없는 만성질환이다. 치료를 해도 원래의 건강한 잇몸으로 되돌아가기 어렵고 꾸준히 관리하지 않으면 재발도 쉽기 때문이다.

◇치아-잇몸 함께 닦고 6개월마다 치과 검진 받아야
잇몸병을 예방하려면 무엇보다 6개월에 한 번씩은 치과 검진을 받고 치석과 충치, 잇몸병 유무를 점검하고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치석이 많이 쌓여있는 경우 스케일링을 해야 한다. 생활 속에서는 치아를 닦는 칫솔질과 동시에 잇몸을 닦아주는 잇솔질도 열심히 해야 한다. 양치질은 하루에 3번 이상, 식후 3분 이내, 3분 이상 이를 닦아야 한다는 ‘3.3.3’ 원칙을 반드시 실천한다. 칫솔 외에도 치간칫솔과 치실을 함께 사용하면 잇몸병 예방에 더욱 효과적이다. 잇몸을 닦을 때는 작은 원을 그리며 가볍게 마사지하듯 닦는다. 잇몸이 약한 편이라면 가볍게 갖다 댄다는 느낌으로 잇솔질을 해주면 된다.

열심히 양치질을 하는 데도 잇몸이 붓고 시리며 피가 나거나, 잇몸이 내려가 치아가 전보다 길게 보이거나, 치아 사이에 틈이 생겼거나, 이가 흔들리는 느낌이 난다면 잇몸병을 의심할 만하다. 임플란트를 한 사람은 통증이 느껴지지 않아도 잇몸이 붓거나 피가 나고, 입냄새가 나면 임플란트주위염일 수 있으므로 즉시 치과를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