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올 추석 혈압 높은 노부모께는 산약<山藥> 갈비찜 해 드리세요

김경원 헬스조선 기자 |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추석 건강 명절상
송편에 하수오 쓰면 기억력에 좋고 구기자 약과는 기력 보충에 도움
녹두전에 복령 넣으면 혈압 안정돼

추석 고향에 가면 약선(藥膳)음식으로 차례상을 차리자. 약선에 들어가는 재료의 다양한 건강 효과로 오래 뵙지 못한 노부모의 원기 보양을 돕고, 자녀와 손주들도 며칠내내 먹기 부담스런 고칼로리 명절 음식을 건강하게 즐길 수 있다. 노부모의 건강 상태에 따라 차려드릴 만한 약선 명절음식의 효과와 조리법을 알아봤다.

>>고혈압·당뇨병 부모님이 고혈압·당뇨병·동맥경화증 등을 갖고 있으면, 마(麻)·복령(茯촅)·생지황(生地黃)을 귀성길에 챙겨 가자. 치자, 황련, 황금, 산수유, 연자육도 좋다. ▶산약 갈비찜=마는 산약(山藥)으로 불린다. 강동경희대병원 웰니스센터 조재흥 교수는 "산약은 고혈압·당뇨병·비만 등에 효과가 있으며, 항노화 작용도 한다"고 말했다. 마의 끈적한 성분은 장내 유해균을 없애고 소화를 촉진해, 운동은 하지 않고 과식하기 쉬운 명절 고향집에서 장 건강을 지켜준다. 갈비찜을 하면서 갈비가 다 익을 때쯤 껍질을 벗긴 마를 넣고 더 익히면 된다. ▶복령 녹두전=복령은 혈당 수치를 내리고 면역기능을 강화해 준다. 노폐물 해독 효능이 있는 녹두로 전을 부치면 복령과 잘 어울려 혈관의 노폐물을 빨리 제거시킨다. 조재흥 교수는 "복령은 심장 수축력을 강화시키며, 면역증강·항암·위장관 이완·궤양 예방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복령 가루를 풀어둔 물과 녹두를 함께 갈아 전을 부치면 된다. ▶생지황 백김치=차례상에 올리는 백김치에는 생지황 국물을 쓰자. 생지황은 혈관에 쌓인 노폐물을 없애고,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 만성질환에 좋다. 생지황은 찬 성질을 가진 약재로 우리 몸의 비정상적인 열을 내리고 뭉친 피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으며, 노화를 예방한다. 생지황을 넣고 끓인 물에 젓갈과 소금 간을 한 뒤 김치국물로 쓴다.

>>만성소화불량 노부모의 소화기능이 약해져 자주 체하거나 속이 더부룩하면, 백출(白朮)·진피(陳皮)가 좋다. 백편두, 지실, 창출, 후박 등도 소화를 돕는다. ▶백출 고사리나물=백출은 성질이 따뜻하고 비위를 튼튼하게 해주며, 복부팽만·설사·변비 증상을 완화시킨다. 동양약선요리연구학교 최원환 요리연구가는 "고사리를 볶을 때 백출을 삶아서 함께 넣으면 된다"고 말했다. ▶진피차=진피는 소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차례를 지내고 명절 음식을 배불리 먹고 나면 커피 대신 진피차를 끓여 드리자. 진피에는 어지간한 과육보다 많은 양의 비타민C가 들어 있어 감기 예방에도 좋다.

>>관절염 관절질환으로 고생하는 노부모에겐 두충(杜仲)이 효자다. 우슬·오가피·방풍·해동피도 관절염에 좋다. ▶두충 도라지나물=두충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근육이 말라붙고 허리와 무릎의 힘이 없어질 때 쓰는 한약 처방에 빠지지 않는 약재이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두충은 신장이 허해 허리와 등뼈가 조여들고 아프거나, 다리가 시들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동시에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한다. 양념한 도라지를 볶다가 두충 우려낸 물을 넣어주면 된다. 두충은 두충나무의 껍질만 쓴다. 껍질 안쪽은 약효가 전혀 없다.

>>기관지 질환 부모님이 기침·감기를 달고 살면 더덕과 삼백초(三白草)가 제격이다.

삼백초 더덕조림=광동한방병원 고은상 원장은 "더덕은 폐의 기능을 강화시켜 기관지에 좋고, 항균성이 있어 계절성 감기를 예방한다"며 "삼백초와 함께 먹으면 체내 독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어 기관지 건강을 배가시킨다"고 말했다. 삼백초(三白草)를 깨끗이 씻어 중불에서 10분 정도 끓인 후 체에 거른 물로 요리한다. 이 외에, 곽향·생강·갈근·맥문동으로 차를 끓여 드려도 도움된다.

기억력 감퇴·불면증=구기자(枸杞子), 하수오(何首烏)가 노부모의 기억력 회복과 불면증 개선에 도움을 준다. 인삼·당귀·향부자도 효과가 있다. ▶구기자 약과=구기자는 정신을 안정시키고 기억력을 증진시킨다. 단백질, 지방과 함께 다양한 미네럴 성분이 들어 있어 강장제로도 쓴다. 약과를 빚기 위해 밀가루 반죽을 할 때 구기자 가루를 섞으면 된다. ▶하수오 송편=하수오는 건망증 개선 효과가 있다. 불면증도 다스린다. 하수오를 쪄서 말린 후 갈아서 송편 반죽에 함께 섞으면 된다. 하수오는 고혈압·지방간·당뇨병 등의 만성질환 예방 효과도 있다.

기력 약화=특별한 질병은 없지만 몸이 허한 노부모에겐 당귀(當歸)와 용안육(龍眼肉)으로 보양을 해 드리면 좋다. ▶당귀 토란탕=국제요리제과전문학교 한국음식문화연구원 임점희 교수는 "당귀는 피가 부족할 때 혈을 보하고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줘 고혈압 등 성인병을 예방한다"고 말했다. 맹물 대신 당귀 끓인 물로 토란탕을 끓이면 된다. ▶용안육 약식=용안육은 심장을 보(補)하고, 혈액을 증가시켜 영양소 공급을 원활하게 해주며, 정신 안정과 기억력 증강에도 도움이 된다. 약식을 만들 때 흑설탕 대신, 용안육을 삶아서 우려낸 물을 쓴다.




이미지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spphoto@chosun.cpm
약선음식

약선(藥膳)음식은 약(藥)과 음식(膳)을 결합한 말이다. 음식으로 약의 효과를 기대한다는 의미이다. 한방은 전통적으로 약과 음식의 근본이 같기 때문에 음식을 약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봐왔다. 음식이 몸에 좋거나 도움된다면 한약재가 들어가지 않아도 약선음식이다.

자생한방병원 이상운 원장은 "약선음식은 한약보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만, 장기간 섭취하면 더 많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며 "또 삼계탕 같은 약선음식은 한 번만 먹어도 기운이 회복돼 한약을 한 번 먹은 것 이상의 효과를 낸다"고 말했다.

체질·몸 상태에 맞는 약재를 쓸 때 효과가 커지므로, 한의사와 상담해 적절한 재료를 쓰면 더 좋다. 한가지 재료만 쓰기보다 비슷한 건강 효과를 내는 재료를 3개월 간격으로 바꿔가며 쓰자. 이 원장은 "재료를 바꿔가며 사용하면 각 재료가 가진 한의학적 부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자신의 체질·신체 상태에 반하는 약선음식을 먹어도 크게 해가 되지는 않는다. 약선음식은 음식일 뿐, 약은 아니기 때문이다.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좎럥�뺧옙��삕影��덈튉占쎌쥜�� �좎럩伊숋옙�듭쭍占쎈굞�뺝뜝�숈삕占쎌슜�삼옙醫묒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