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한겨울 한랭 두드러기, 어떻게 할까?
백민정 헬스조선 기자 | 사진 백기광(스튜디오100)
입력 2011/02/06 09:30
한랭 두드러기란?
일교차가 심한 날이나 추운 겨울에 밖에 있다가 갑자기 따뜻한 곳에 들어갔을 때 갑자기 피부가 가렵고 부풀어 오르는 증상이다. 겨울에 주로 생기는 한랭 두드러기는 전체 만성 두드러기의 1~3%를 차지한다. 대부분 후천성이지만 아주 드물게 유전성으로 나타난다.
찬 공기, 찬물, 얼음 등 차가운 물질이 피부에 닿으면 그 부위에 가려움증이 생기고, 피부가 부풀어 오르면서 붉게 변한다. 심한 경우 머리가 아프고 얼굴이 빨개지며 심장 박동수가 빨라진다. 또 혈압이 떨어져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등 온몸에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호흡곤란이 오고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민감한 사람은 아이스크림 정도의 찬 음식만 먹어도 입술이나 혀, 기도가 부어올라 숨쉬기조차 힘들어진다.
한랭 두드러기, 누구나 생기는 걸까?
보통 두드러기는 음식을 잘못 먹으면 생기지만 한랭 두드러기는 특정 사람에게만 생긴다. 얼음 덩어리를 약 2분간 팔 안쪽에 올려놓거나, 10분간 찬 공기를 쐰 다음 다시 몸이 따뜻해질 때까지 두드러기가 생기는지 살펴보면 알 수 있다. 두드러기가 생긴 범위에 따라 가라앉기까지 1시간에서 여러 날이 지속될 수도 있다.
한랭 두드러기는 피부질환 이외에 호흡기나 혈압 등에도 문제가 올 수 있으므로 증상이 보이면 빨리 피부과를 찾는다. 피부과에서는 스테로이드제나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하는데, 대부분 투여 즉시 가라앉는다. 한랭 두드러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내 온도를 18~20℃로 유지하고, 가습기를 틀어 습도가 40% 이상이 되게 한다. 목욕은 따뜻한 물로 30분 이내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되도록 차가운 곳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추운 날씨에는 노출 부위를 최소화하는 옷차림을 한다. 추위에 직접적으로 노출됐다 갑자기 더운 곳에 가는 것을 피한다.
과일이나 채소 등을 듬뿍 먹어 몸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고, 옷은 면 소재를 입는다. 두드러기가 생기면 개인이 할 수 있는 치료법은 없다. 옷을 겹쳐 입거나 이불을 덮어 우선 몸을 따뜻하게 하고 가라앉기를 기다리는 방법이 전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