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지오치과네트워크에서 소아청소년기의 치아관리에 부모관심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를 위해, 중학생 자녀를 둔 부모 중 자녀와 함께 있는 시간이 다른 맞벌이와 외벌이 부모 각각 338명, 총 676명을 대상으로 자녀의 구강문제와 치과관리에 대한 실태 조사를 했다.

그 결과, 맞벌이 자녀의 구강상태가 외벌이보다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자녀의 치아에 문제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맞벌이 부모는 81%(274명)가 그렇다, 외벌이는 66%(223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영구치가 모두 나온 지 3년 이내인 중학생들이 벌써 영구치에 손상이 생겼다는 것은, 아이들의 치아건강 문제가 이미 심각한 것을 의미한다. 특히 맞벌이 부모의 자녀는 15% 정도 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학생에게 나타나는 가장 큰 치아문제는 부정교합과 충치였다. 특히 맞벌이 자녀(40%/134명)에서 약 10% 정도 더 많은 부정교합이 나타났다. 충치의 경우에도 맞벌이 자녀가 41.4%(140명)로 외벌이 자녀 24%(81명)보다 17.4% 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일리노이치과 김명립 원장은 “실제 충치치료를 위해 병원을 방문한 환자의 경우 맞벌이 자녀의 충치개수가 더 많고, 충치가 파고든 정도도 더 심각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 밖에 잇몸문제(맞벌이 7.7%/외벌이 6.2%)나, 입마름 증상(맞벌이 5.7%/ 외벌이 5.3명)등 전체적인 구강건강에서도 맞벌이 자녀가 외벌이 자녀보다 많았다.

지오치과네트워크 방태훈 원장은“혼합치열기는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는 나는 시기로,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턱 모양이나 치아배열이 결정되는 중요한 때이다. 이번 중학생 조사를 통해 혼합치열기를 보낸 직후인 치아상태에 대해 알아본 결과, 특히 맞벌이 부모의 자녀가 치아에 대해 세심하게 관심 가져야 하는 이 시기를 놓쳐 덧니나 충치가 생긴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방원장은 또 “이처럼 맞벌이 자녀와 외벌이 자녀의 구강건강이 차이가 나는 것은, 유전적 요인 못지 않게 부모의 관심이나 치과방문, 식이조절 등 환경적 요인이 자녀의 치아건강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