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3-08-28

인체에는 목에서부터 엉덩이까지 33개의 척추 뼈가 있으며, 그 척추 뼈 내부에는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라는 통로가 있다. 뇌에서 나온 신경은 척추관을 통해 아래로 내려오면서 온 몸의 신경과 연결돼있다. 척추관의 가로 단면을 CT검사를 통해 살펴보면 대개 직경 1cm 가량의 타원형 모양이다.

어떤 원인으로 인해 척추관이 좁아질 경우 척추관 안에 들어 있는 신경이 목이 졸리듯 눌리게 되며 이 눌린 신경이 지배하는 신체 부위에 통증이나 마비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런 경우를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한다.

척추관 협착증은 부위에 따라서 신경관 협착증과 신경구멍 협착증으로 나눌 수 있다. 신경관 협착증에 대한 치료법은 수술에서 비수술 요법까지 다양하게 소개되어있다. 그렇지만 신경구멍 협착증에 대해서는 수술적 치료 및 비수술적 치료 모두 까다롭고 진단도 쉽지 않으며 심지어 잘 알려져 있지도 않다.

신경관은 중추신경이나 척추신경다발이 지나가는 통로이며, 신경구멍은 팔이나 다리로 전달되는 신경가지가 척추로부터 빠져 나오는 구멍을 말한다. 신경가지가 신경관에서 빠져 나오면 가느다란 인대가 거미줄처럼 엮여 있어 염증이 잘 일어나며 척추로 가는 혈류 흐름도 방해하여 통증이 아주 심하게 발생한다.

신경구멍 협착증 역시 노화가 주요 원인이며 디스크의 퇴행과 척추 주변 조직인 인대와 근육의 약화에 따라 증세가 나타나기 때문에 50대 이상의 고령 인구에서 많이 발생한다.

신경관 협착증이 발생하면 양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증상이 나타나며 허리를 앞으로 굽히면 좀 편안하고 오래 걷게 되면 통증이 점차 심해져 쉬었다 가기를 반복하게 된다. 하지만 신경구멍 협착증은 잠시도 걷기 힘든 극심한 통증이 특징이다. 문진과 촉진 등 이학적 검사에서부터 CT, MRI, 척수 조영술 등의 상호 보완적인 방사선 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며, 자칫하면 환자가 꾀병인 것처럼 보이거나 오진이 나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신경구멍 협착증이 심하게 진행되는 경우, 운동신경 마비, 경련, 근력 약화 등이 나타나는데 운동신경의 마비가 오래 되면 근육의 위축이 와서 다리, 허벅지, 종아리 등의 근육이 말라버리게 된다. 특히 발목이 말을 듣지 않게 돼 발목이 헐렁거리게 되고 걸을 때 걸음걸이가 휘청거리게 된다.

극심한 다리 통증을 호소하던 도 모씨(남, 74세)는 다리를 잘라버리고 싶을 정도로 고통스러워 걷는 것은 물론 정상생활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병원을 전전했지만 원인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어 오랜 시간을 허비했다. 결국 병명은 신경구멍 협착증이었다. 주사요법을 비롯한 비수술적 치료로는 효과가 없었고 고혈압과 당뇨, 뇌경색, 통풍 등의 지병이 있어 전신마취 수술도 위험성이 큰 상태였다.

일단 신경구멍 협착증이 의심되면 물리치료, 자세 교정, 상체 견인술, 허리강화운동, 주사요법 등비수술 요법으로 최선을 다해 치료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하지만 비수술 요법으로 잘 치료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기존에는 피부를 많이 절개해서 뼈를 자르거나 나사못을 박는 관혈적 수술이 주로 이뤄졌다. 이는 수혈이 필요하거나 수술후 후유증의 위험성이 높다.

전신마취에 부담을 느끼는 환자나 고령환자는 단순히 일시적이고 고식적인 주사나 관 치료가 아니라 완치를 추구하는 내시경을 이용한 신경구멍 확장술이 바람직하다. 내시경으로 신경과 척추 조직을 확대 조명하면서 섬세한 레이저나 드릴 등으로 신경을 조르고 있는 병적인 뼈나 조직만을 최소침습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정작 환자 본인은 간단한 비수술적 시술로 느껴질 정도로 간편하다.
하지만 그 효과는 관혈적 수술의 효과와 동일하거나 능가하며 절개 수술의 부작용도 없고 일상생활로의 복귀도 빠르다. 수술의 위험성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를 포기해온 고령환자들에게 매우 안전한 수술법이다.

특히 신경구멍 협착증이 발생한 고령의 환자는 걷기가 힘들고 통증이 심해 병상생활을 오래 지속하거나 외부 활동을 못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척추는 더욱 약해지고 심폐기능까지 영향을 받아 건강은 더욱 나빠지게 된다. 삶의 질은 급격히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주위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예방과 숙련된 전문의를 통한 조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이다.  

/기고자 : 우리들병원 이상호 이사장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누구나 허리 펴고 사는 세상

[우리들병원]
이상호 이사장

[前]의료법인 우리들 의료재단 우리들병원 이사장
[前]국제근골격레이저학회 (IMLAS) 회장
[前]대한신경외과학회 (KNS) 서울-경인지회 회장
[現]세계미세침습척추수술및치료학회 (World Congress of MISST) 명예회장
[現]국제디스크내치료학회 (IITS) 명예 회장
[現]국제최소침습척추외과학회 (ISMISS) 회장
[現]2013년 세계신경외과학회 (WFNS) 부회장
[現]아시아미세침습척추수술외과학술원 (AAMISS) 회장

튼튼한 척추란? 오래 앉아 있을 수 있고 오래 서 있을 수 있으며, 일상생활과 스포츠와 같은 여가활동이 가능하고, 목과 허리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를 말한다. 100세까지 튼튼한 척추를 유지하기 위한 이상호 이사장의 ‘척추 사랑 30년’ 노하우를 전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