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06-11-30

이 몹쓸 가을엔 편지를 쓰세요… 나에게!

가을이 오면 감상과 우울 모드로 ‘급변신’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평소에도 외로웠으면서 가을만 되면 새삼스레 “더 이상 혼자 있고 싶지 않아.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 줘”란 말로 주변을 괴롭힙니다. 특히 바쁘게 사는 직장인들일 수록 물밀듯 밀려오는 허무감에 빠지기도 합니다. “내가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이렇게 사는 거지?” 매년 스산한 바람과 함께 찾아오는 ‘가을 중독’. 가을 바람에 페로몬 같은 특수 성분이라도 들어있는 걸까요.

“가을을 탄다.” 저는 이를 ‘가을이란 단어에 중독된 자기 최면 상태’라고 봅니다. 유난히 높고 맑은 하늘은 공허한 내 마음을 대신하는 것 같습니다. 다리에 힘이 빠지고 다시 달려갈 전투의욕도 사라집니다. 그저 달력이 몇 장 넘어갔을 뿐인데 이렇게 힘이 들다니. 허겁지겁 미친 듯 일하며 폭염을 뚫고 지나왔는데, 막상 두 손에 쥐어진 것은 없습니다. 허탈감과 무력감이 서늘한 바람과 함께 순식간에 온몸을 장악합니다. 정말 몹쓸 가을입니다.

문제지를 반도 풀지 못했는데 끝날 시간이 얼마 안 남았으니 정리를 하라는 조교의 냉정한 목소리를 듣는 것 같죠? 이때부터는 기분이 팍 잡쳐져 그나마 써놓은 시험지도 다 찢어버리고 나가버리고 싶어집니다. 성질 급한 사람들은 이 정도에서 ‘난 역시 안 되는 인생이야’라며 자포자기 하고 주저앉기도 하죠. 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많은 이들이 가을만 오면 스스로를 무능하다고 질책하곤 합니다.

그런 면에서 가을은 마음의 독감 바이러스입니다. 면역력이 낮은 사람들은 매년 이 몹쓸 가을에 중독돼 제대로 싸워보지도 않고 인생에 백기를 들어버립니다. 멀쩡하던 사람이 망가지는 것 순식간입니다. 가만히 앉아서 가을만 타다가는 정말 다 타서 재가 되어버릴지도 모릅니다.

이 가을을 이기기 위해서는 누가 등 뒤를 밀면서 결과물을 내놓으라고 독촉을 하더라도 초조해하지 말아야 합니다. 숨을 고르면서 자신에게 얘기합니다. ‘잠깐 아직 끝나려면 멀었어’, 허탈감과 허무감이 공습을 할 때는 ‘난 생각보다 해놓은 것이 많은 놈이야’라고 자기방어로 면역력을 높여주는 것입니다.

기타노 다케시의 영화 ‘키즈 리턴’에서 실패로 지친 두 친구는 텅 빈 운동장을 자전거로 맴맴 돕니다. “우린 이제 끝난 걸까?”라는 말에 다른 한 친구가 대답합니다. “아직 시작도 안 했잖아.” 이 몹쓸 가을이 당신을 장악하지 못하게 막아줄 백신은 이 말이 아닐까요.

그러나 저러나, 가을만 되면 외롭다고 아우성인 분들, 봄·여름·겨울에도 외롭게 지내더군요. 가을엔 편지를 쓰세요. 수신인은 바로 당신. 그러니까 상투적 어구로 늘 방어하기에 급급했던 당신의 감정입니다. 나는 어떤 사람이었는지, 다른 이들에게 어떻게 비쳐지는지, 과연 진심을 가지고 남을 대하는지…. 편지를 보내고 나면 곧 답장이 오겠지요. 답장 안에는 나도 몰랐던 내 까탈스러움이 담겨있을 겁니다. 다음에는 변화를 위한 실천을 해야겠지요.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주고 싶은 좋은 사람이 되는 겁니다. 그래야 다가오는 겨울에 얼어 죽지 않을 테니까요. 지금 가을의 의미는 여기에 있답니다.

/건국대병원 신경정신과 교수


입력 : 2006.10.20 14:38 55'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 시대의 중독

[건국대병원]
하지현 교수

건국대병원 신경정신과 교수

수 많은 집착 속에서 현대인은 어느 덧 '중독' 증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시대의 중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