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최근 심리적 원인으로 인해 흔하지 않은 중증 건선의 일종인 '홍피성 건선'이 발생한 70대 여성 환자 사례가 저널에 보고됐다.
영국 스윈던 그레이트웨스턴병원 의료진은 잘 조절되지 않는 건선을 앓고 있는 76세 여성 A씨가 전과 달리 심한 발열, 심장 두근 거림, 통증, 발적을 동반한 다리 부기, 식욕감소, 의식저하를 경험한 후 병원에 의뢰됐다고 밝혔다. A씨는 최근 딸이 사망해 큰 심리적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더불어 A씨는 약 30년간 건선과 건선성 관절염으로 고생해왔다. 의료진이 피부를 관찰한 결과, 건선 증상이 가벼운 열을 동반해 전신으로 퍼져있었다. 피부를 만졌을 때 따뜻하고 건조했으며 두드러진 은백색 비늘로 두꺼워진 상태였다. 다행히 A씨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약 아달리무맙 사용으로 6주 후부터 피부 증상이 눈에 띄게 개선됐다. 그럼에도 이상 징후가 지속적으로 나타나 게속 약을 처방해 16주 추적을 하고 있다고 의료진은 보고했다.
건선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종류가 다양한데 각질이 두껍게 일어나는 판상건선(전체 건선의 80~90%)이 가장 흔하지만 동그란 점 같이 생긴 물방울 건선, 피부 전체가 빨갛게 변하는 홍피성 건선, 물집이 보이는 농포 건선, 손톱 건선 등이 있다. 건선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몸속 면역계 이상 때문으로 알려졌다. 면역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돼 피부 각질이 일어나거나 피부가 붉게 보이는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사람이 스트레스·날씨·질병 등 복합적인 환경 요인의 영향을 받으면 건선이 유발되거나 악화되기도 한다. A씨의 경우 평소 건선을 앓았지만 최근 큰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고 증상이 악화된 사례라고 의료진은 추정했다.
그레이트웨스턴병원 의료진은 "홍피성 건선은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거나 재발되는 경우가 있다"며 "A씨 역시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한 홍피성 건선 사례"라고 했다. 스트레스가 심하면 몸 면역체계를 약화시키고 염증을 증가시켜 건선을 유발하거나 악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의료진은 이럴 때 "마음챙김 명상, 인지행동 치료 등으로 스트레스 반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 이어 "환자가 중증 홍반성 발진으로 내원할 때 의료진이 환자에게 최근 심리적 스트레스가 심했던 경우 홍피성 건선을 고려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사례는 최근 '큐레우스'에 게재됐다.
영국 스윈던 그레이트웨스턴병원 의료진은 잘 조절되지 않는 건선을 앓고 있는 76세 여성 A씨가 전과 달리 심한 발열, 심장 두근 거림, 통증, 발적을 동반한 다리 부기, 식욕감소, 의식저하를 경험한 후 병원에 의뢰됐다고 밝혔다. A씨는 최근 딸이 사망해 큰 심리적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더불어 A씨는 약 30년간 건선과 건선성 관절염으로 고생해왔다. 의료진이 피부를 관찰한 결과, 건선 증상이 가벼운 열을 동반해 전신으로 퍼져있었다. 피부를 만졌을 때 따뜻하고 건조했으며 두드러진 은백색 비늘로 두꺼워진 상태였다. 다행히 A씨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약 아달리무맙 사용으로 6주 후부터 피부 증상이 눈에 띄게 개선됐다. 그럼에도 이상 징후가 지속적으로 나타나 게속 약을 처방해 16주 추적을 하고 있다고 의료진은 보고했다.
건선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종류가 다양한데 각질이 두껍게 일어나는 판상건선(전체 건선의 80~90%)이 가장 흔하지만 동그란 점 같이 생긴 물방울 건선, 피부 전체가 빨갛게 변하는 홍피성 건선, 물집이 보이는 농포 건선, 손톱 건선 등이 있다. 건선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몸속 면역계 이상 때문으로 알려졌다. 면역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돼 피부 각질이 일어나거나 피부가 붉게 보이는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사람이 스트레스·날씨·질병 등 복합적인 환경 요인의 영향을 받으면 건선이 유발되거나 악화되기도 한다. A씨의 경우 평소 건선을 앓았지만 최근 큰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고 증상이 악화된 사례라고 의료진은 추정했다.
그레이트웨스턴병원 의료진은 "홍피성 건선은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거나 재발되는 경우가 있다"며 "A씨 역시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한 홍피성 건선 사례"라고 했다. 스트레스가 심하면 몸 면역체계를 약화시키고 염증을 증가시켜 건선을 유발하거나 악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의료진은 이럴 때 "마음챙김 명상, 인지행동 치료 등으로 스트레스 반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 이어 "환자가 중증 홍반성 발진으로 내원할 때 의료진이 환자에게 최근 심리적 스트레스가 심했던 경우 홍피성 건선을 고려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사례는 최근 '큐레우스'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