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민 선수는 25일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번 상황이 발생한 이후 제가 먼저 감독님을 찾아가 ‘골인 직후 너무 강하게 잡아당기셔서 통증이 있었다. 그 행동은 적절하지 않았다’고 분명하게 전달했고, 제가 순간적으로 뿌리친 행동이 기분 나빴다면 죄송하다고도 말씀드렸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감독님은 구체적인 사과나 인정은 전혀 없었다”며 “감독님은 말을 돌리는 식으로 대응하셨고 그 후로도 개인적·공식적으로 어떤 사과나 연락도 전혀 없었다”고 했다.
앞서 지난 23일 2025 인천국제마라톤대회에서 이수민 선수는 2시간35분41초 만에 42.195㎞를 완주해 국내 여자부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선을 통과한 이 선수가 속도를 줄이기도 전에 김 감독이 타월을 들고 다가와 이 선수를 강하게 잡아 세웠다. 고통스러운 표정을 지은 이 선수는 상체를 감싼 김 감독의 손을 뿌리쳤고, 이 장면은 생중계 화면에 그대로 잡히며 논란이 됐다.
다만 김완기 감독은 전날 한 매체에 “시청자 입장에서는 잡아주고 뿌리치니까 추행이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육상 쪽에서는 이런 사례가 다반사”라며 “여자 마라톤 선수는 결승선에 들어오자마자 실신하는 경우가 많아서 안 잡아주면 선수가 다친다”고 말했다.
한편, 마라톤 결승선에서는 바로 멈추기보다 충분한 회복을 위한 ‘쿨다운’이 중요하다. 이대서울병원 정형외과 스포츠의학 전문의 전상우 교수는 과거 헬스조선과의 인터뷰에서 “골인 지점을 지난 후 바로 달리기를 멈추는 것은 금물”이라며 “극도로 긴장했던 근육들이 천천히 평소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낮은 강도로 걷거나 움직이며 쿨다운 하는 것이 좋다”고 말한 바 있다. 마라톤 선수 출신 정석근헬스라이프 클럽 정석근 감독도 “경기가 끝나고 바로 멈춰서는 것은 좋지 않다”며 “다들 힘드니까 바로 멈추거나 누우려고 하지만, 가볍게 조깅을 하고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마라톤 후 갑자기 멈추면 다리 근육이 정맥혈을 심장으로 되돌아가지 못하게 해 우심방에 혈액이 충분히 차지 못하고 실신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려면 완주 후 5~10분간 가볍게 걷거나 조깅하며 심박수와 호흡을 서서히 안정시켜야 한다. 이후 탈수 등 예방을 위해 수분 섭취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