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청소년들이 ‘크로밍(chroming) 챌린지’로 불리는 SNS 유행 영상을 따라하다 숨지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크로밍은 탈취제나 헤어스프레이 등 에어로졸 제품에서 나오는 가스를 들이마신 뒤 환각 상태를 경험하고 이를 영상으로 찍어 올리는 것을 말한다.
지난달 26일(현지 시각) 영국 더선에 따르면, 지난 5월 맨체스터 테임사이드 하이드 지역에서 12세 소년 올리버 고먼이 방 안에서 의식을 잃은 채 발견됐다. 침대 곁에는 비어 있는 탈취제 캔이 놓여 있었으며,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숨졌다. 부검 결과는 ‘가스 흡입으로 인한 심정지’였다. 그의 어머니는 “SNS에서 본 영상을 따라 한 행동이 20분 만에 아이의 생명을 빼앗았다”고 말했다.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약물남용연구소에 따르면, 스프레이 흡입으로 숨지는 청소년은 한 해 약 200명에 달한다. 올해 6월 미국 애리조나주에서도 10대 소녀 레나 오루크가 가스를 들이마신 뒤 뇌사 상태에 빠졌으며, 지난해 영국 켄트주와 요크셔주에서도 각각 13세, 12세 소년이 크로밍으로 심정지를 일으켰다. 이 중 한 소년은 가까스로 의식을 되찾았지만 단기 기억 장애 등 후유증이 남았다.
크로밍에는 탈취제와 헤어스프레이 외에도 페인트, 접착제, 연료 등 휘발성 물질이 들어 있는 여러 제품이 사용된다. 가스를 코나 입으로 흡입하면 순간적으로 어지러움이나 환각이 나타나는데, 일부 10대들이 이런 모습을 영상으로 찍어 SNS에 올리며 조회수를 경쟁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게시된 영상에는 청소년들이 자동차나 집 안에서 스프레이를 흡입한 뒤 균형을 잃고 비틀대는 모습이 그대로 담겨 있다. 한 청소년은 “겨우 3달러짜리 스프레이가 강력한 약물만큼 효과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아산화질소,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 화학물질을 반복적으로 흡입하면 환각뿐 아니라 메스꺼움, 구토, 발작, 언어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신장·간 기능 저하와 뇌 손상, 심장마비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미국 가정의학과 전문의 토머스 호로위츠 박사는 “한 번의 흡입만으로도 돌연사가 일어날 수 있다”며 “흡입된 독성 물질이 폐와 혈류를 통해 뇌·심장 등 주요 장기를 빠르게 손상시킨다”고 말했다.
지난달 26일(현지 시각) 영국 더선에 따르면, 지난 5월 맨체스터 테임사이드 하이드 지역에서 12세 소년 올리버 고먼이 방 안에서 의식을 잃은 채 발견됐다. 침대 곁에는 비어 있는 탈취제 캔이 놓여 있었으며,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숨졌다. 부검 결과는 ‘가스 흡입으로 인한 심정지’였다. 그의 어머니는 “SNS에서 본 영상을 따라 한 행동이 20분 만에 아이의 생명을 빼앗았다”고 말했다.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약물남용연구소에 따르면, 스프레이 흡입으로 숨지는 청소년은 한 해 약 200명에 달한다. 올해 6월 미국 애리조나주에서도 10대 소녀 레나 오루크가 가스를 들이마신 뒤 뇌사 상태에 빠졌으며, 지난해 영국 켄트주와 요크셔주에서도 각각 13세, 12세 소년이 크로밍으로 심정지를 일으켰다. 이 중 한 소년은 가까스로 의식을 되찾았지만 단기 기억 장애 등 후유증이 남았다.
크로밍에는 탈취제와 헤어스프레이 외에도 페인트, 접착제, 연료 등 휘발성 물질이 들어 있는 여러 제품이 사용된다. 가스를 코나 입으로 흡입하면 순간적으로 어지러움이나 환각이 나타나는데, 일부 10대들이 이런 모습을 영상으로 찍어 SNS에 올리며 조회수를 경쟁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게시된 영상에는 청소년들이 자동차나 집 안에서 스프레이를 흡입한 뒤 균형을 잃고 비틀대는 모습이 그대로 담겨 있다. 한 청소년은 “겨우 3달러짜리 스프레이가 강력한 약물만큼 효과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아산화질소,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 화학물질을 반복적으로 흡입하면 환각뿐 아니라 메스꺼움, 구토, 발작, 언어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신장·간 기능 저하와 뇌 손상, 심장마비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미국 가정의학과 전문의 토머스 호로위츠 박사는 “한 번의 흡입만으로도 돌연사가 일어날 수 있다”며 “흡입된 독성 물질이 폐와 혈류를 통해 뇌·심장 등 주요 장기를 빠르게 손상시킨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