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지난 24일 이사장단 회의를 열고 약가 제도 개편 관련 국내 제약·바이오산업계 차원의 공동 대응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비대위에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한국제약협동조합 등 5개 단체가 참여한다. 비대위는 ▲기획정책위원회 ▲대외협력위원회 ▲국민소통위원회 등 3개 분과로 구성해 신속 대응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보건복지부가 이번 주 공개할 것으로 알려진 약가 제도 개편안이 제약·바이오산업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데 뜻을 모았다. 비대위는 정부 추진 약가 제도 개편안의 경과와 향후 일정, 개편 시 산업계에 미칠 영향 등을 논의했다.
비대위는 산업계가 겪게 될 연구·개발 동력 약화, 투자 계획 차질 등 우려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정부가 구체적 개편안을 발표하면 해당 안의 영향 분석을 토대로 의견을 제시하기로 결정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국내 개발 신약의 글로벌 진출과 신약 기술 이전 등 가시적 성과로 제약·바이오 강국 도약을 준비하는 기업들이 있다”며 “정부의 정책이 이런 기업들의 동력에 타격을 줘서는 안 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 개편안은 이번 주 후반 열리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상정될 전망이다. 정부는 환자 의약품 접근성 향상과 건강보험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해 약가 제도 개편안을 마련해 왔다. ▲제네릭 산정률 조정 ▲계단식 약가 인하 ▲사후관리 제도 정비 등이 주요 내용으로, 특히 제네릭 약가 산정률이 낮아지는 방안이 거론되면서 산업계의 우려가 있었다.
비대위에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한국제약협동조합 등 5개 단체가 참여한다. 비대위는 ▲기획정책위원회 ▲대외협력위원회 ▲국민소통위원회 등 3개 분과로 구성해 신속 대응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보건복지부가 이번 주 공개할 것으로 알려진 약가 제도 개편안이 제약·바이오산업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데 뜻을 모았다. 비대위는 정부 추진 약가 제도 개편안의 경과와 향후 일정, 개편 시 산업계에 미칠 영향 등을 논의했다.
비대위는 산업계가 겪게 될 연구·개발 동력 약화, 투자 계획 차질 등 우려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정부가 구체적 개편안을 발표하면 해당 안의 영향 분석을 토대로 의견을 제시하기로 결정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국내 개발 신약의 글로벌 진출과 신약 기술 이전 등 가시적 성과로 제약·바이오 강국 도약을 준비하는 기업들이 있다”며 “정부의 정책이 이런 기업들의 동력에 타격을 줘서는 안 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 개편안은 이번 주 후반 열리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상정될 전망이다. 정부는 환자 의약품 접근성 향상과 건강보험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해 약가 제도 개편안을 마련해 왔다. ▲제네릭 산정률 조정 ▲계단식 약가 인하 ▲사후관리 제도 정비 등이 주요 내용으로, 특히 제네릭 약가 산정률이 낮아지는 방안이 거론되면서 산업계의 우려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