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인·부부 관계는 100이면 100 다 다르다. 그래도 안정적인 관계에서 나름의 경향성을 찾을 수는 있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성은 외향성, 여성은 신경성과 우호성이 강할수록 연인·부부 관계를 유지하는 편이라고 드러났다.
연구팀은 호주, 덴마크, 스웨덴 성인 3780명을 대상으로 성격과 인간관계 만족도 사이 관계성을 연구했다. 연구팀은 참여자들이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우호성, 신경성 등 다섯 가지 항목에 대해 자신이 어떠한지 평가하게 했다. 가족, 연인·배우자와의 관계가 어느 정도 만족스러운지, 안정적이라고 느끼는지도 답하게 했다.
▲개방성은 상상력과 호기심이 강하고 새로운 것에 이끌리는 성향 ▲성실성은 자신의 일상을 체계적으로 정돈하고, 책임감을 지니며 믿음직스러운 성향 ▲외향성은 사교적이고 활력이 넘치며 타인과의 교류에서 자극을 받는 성향 ▲우호성은 다정하고, 공감 능력이 강하며, 타인과 협력하려는 성향 ▲신경성은 감정적으로 불안정해 불안 같은 부정적 감정을 자주 느끼는 성향을 말한다.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외향성이 강할수록 연인·부부 관계 안정성이 높고, 신경성과 우호성이 강할수록 연인·부부 관계를 유지할 가능성이 낮았다. 여성은 이와 달리 신경성이 두드러질수록 연인이나 배우자가 있을 가능성이 컸으며, 이는 우호성 역시 마찬가지였지만 신경성보다는 상관관계가 약했다.
관계 만족도에 있어서는 여성이든 남성이든 신경성이 강할수록 불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밖에도 남성의 경우 외향성이, 여성은 우호성이 강할수록 가족과의 관계에 큰 만족을 느끼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성격 연구 저널(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호주, 덴마크, 스웨덴 성인 3780명을 대상으로 성격과 인간관계 만족도 사이 관계성을 연구했다. 연구팀은 참여자들이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우호성, 신경성 등 다섯 가지 항목에 대해 자신이 어떠한지 평가하게 했다. 가족, 연인·배우자와의 관계가 어느 정도 만족스러운지, 안정적이라고 느끼는지도 답하게 했다.
▲개방성은 상상력과 호기심이 강하고 새로운 것에 이끌리는 성향 ▲성실성은 자신의 일상을 체계적으로 정돈하고, 책임감을 지니며 믿음직스러운 성향 ▲외향성은 사교적이고 활력이 넘치며 타인과의 교류에서 자극을 받는 성향 ▲우호성은 다정하고, 공감 능력이 강하며, 타인과 협력하려는 성향 ▲신경성은 감정적으로 불안정해 불안 같은 부정적 감정을 자주 느끼는 성향을 말한다.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외향성이 강할수록 연인·부부 관계 안정성이 높고, 신경성과 우호성이 강할수록 연인·부부 관계를 유지할 가능성이 낮았다. 여성은 이와 달리 신경성이 두드러질수록 연인이나 배우자가 있을 가능성이 컸으며, 이는 우호성 역시 마찬가지였지만 신경성보다는 상관관계가 약했다.
관계 만족도에 있어서는 여성이든 남성이든 신경성이 강할수록 불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밖에도 남성의 경우 외향성이, 여성은 우호성이 강할수록 가족과의 관계에 큰 만족을 느끼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성격 연구 저널(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