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 소아백혈병을 앓았던 여성이 결혼을 앞두고 예비 시댁의 반대에 부딪혔다.
지난 19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20년 전 걸린 백혈병 때문에 결혼 반대’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 A씨는 “20년 전인 6살 때 소아백혈병을 앓았지만 부모님의 헌신으로 완치돼 건강한 삶을 살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결혼 허락을 받기 위해 남자친구의 어머니를 만났다가 예상치 못한 반발을 마주했다.
남자친구 어머니는 “아팠던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A씨가 과거 소아백혈병을 고백하자 “결혼해 아이 낳으면 손주도 너처럼 백혈병 아니냐”며 “네가 다시 백혈병 걸리면 내 아들이 고생한다”고 했다고 한다. 이어 “네 부모는 뭘 먹여 키웠길래 애가 백혈병 걸리냐”는 막말까지 이어졌다. 이에 A씨는 “결혼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며 속상함을 드러냈다.
누리꾼들은 “애 낳아 길러본 사람들은 유전이 얼마나 강력한지 안다”, “나도 건강하게 잘 지내다 25년 만에 재발했다. 항상 조심해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백혈병은 실제로 유전되는 질환일까?
백혈병은 조혈기관인 골수의 정상 혈액 세포가 어떤 원인으로 암세포로 변해 증식하면서 생기는 혈액암이다. 백혈병 세포는 무한 증식해 정상적인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생성을 방해한다. 이로 인해 정상 혈액세포 수치를 감소시켜 우리 몸 곳곳에 문제를 일으킨다. A씨가 겪은 소아백혈병은 전체 소아암의 40% 정도를 차지한다.
소아백혈병은 부모에게서 직접 유전된다고 보기 어렵다. 임신 중 식습관이 원인이 되는 것도 아니다. 경희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윤회수 교수는 과거 헬스조선과의 인터뷰에서 “소아백혈병 환자에게서 유전자의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는 있으나 부모에게서 전해지는 것은 아니다”며 “가정의 식습관이나 생활환경도 상관없다”고 말했다. 또 “만약 부모 및 생활환경이 원인이라면 한 가정에서 자란 형제·자매가 같은 소아암에 걸려야 하는데 그런 경우는 없으므로 아이의 소아암 진단으로 부모가 죄책감을 가질 이유는 없다”고 했다.
소아암은 종류에 따라 치료기간이 다르지만, 보통 치료 후 3~5년 추적관찰을 했을 때 재발이 없으면 완치 판정한다. 성인암과 달리 완치율이 높은 편으로, 일반적으로는 70~80% 완치된다. 치료가 잘 되는 급성 림프모구백혈병은 80~90%까지 치료된다. 다만 치료가 끝났다고 병이 있기 전으로 돌아가는 건 아니다. 미국에서 실시한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소아암 생존자의 60~75%는 평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후기 합병증을 겪고, 그중 30~40%는 정도가 심한 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합병증은 치료 직후가 아니라 수십 년 뒤에 발생하기도 해, 소아암 생존자는 6개월~1년에 한 번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관리받아야 한다.
지난 19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20년 전 걸린 백혈병 때문에 결혼 반대’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 A씨는 “20년 전인 6살 때 소아백혈병을 앓았지만 부모님의 헌신으로 완치돼 건강한 삶을 살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결혼 허락을 받기 위해 남자친구의 어머니를 만났다가 예상치 못한 반발을 마주했다.
남자친구 어머니는 “아팠던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A씨가 과거 소아백혈병을 고백하자 “결혼해 아이 낳으면 손주도 너처럼 백혈병 아니냐”며 “네가 다시 백혈병 걸리면 내 아들이 고생한다”고 했다고 한다. 이어 “네 부모는 뭘 먹여 키웠길래 애가 백혈병 걸리냐”는 막말까지 이어졌다. 이에 A씨는 “결혼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며 속상함을 드러냈다.
누리꾼들은 “애 낳아 길러본 사람들은 유전이 얼마나 강력한지 안다”, “나도 건강하게 잘 지내다 25년 만에 재발했다. 항상 조심해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백혈병은 실제로 유전되는 질환일까?
백혈병은 조혈기관인 골수의 정상 혈액 세포가 어떤 원인으로 암세포로 변해 증식하면서 생기는 혈액암이다. 백혈병 세포는 무한 증식해 정상적인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생성을 방해한다. 이로 인해 정상 혈액세포 수치를 감소시켜 우리 몸 곳곳에 문제를 일으킨다. A씨가 겪은 소아백혈병은 전체 소아암의 40% 정도를 차지한다.
소아백혈병은 부모에게서 직접 유전된다고 보기 어렵다. 임신 중 식습관이 원인이 되는 것도 아니다. 경희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윤회수 교수는 과거 헬스조선과의 인터뷰에서 “소아백혈병 환자에게서 유전자의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는 있으나 부모에게서 전해지는 것은 아니다”며 “가정의 식습관이나 생활환경도 상관없다”고 말했다. 또 “만약 부모 및 생활환경이 원인이라면 한 가정에서 자란 형제·자매가 같은 소아암에 걸려야 하는데 그런 경우는 없으므로 아이의 소아암 진단으로 부모가 죄책감을 가질 이유는 없다”고 했다.
소아암은 종류에 따라 치료기간이 다르지만, 보통 치료 후 3~5년 추적관찰을 했을 때 재발이 없으면 완치 판정한다. 성인암과 달리 완치율이 높은 편으로, 일반적으로는 70~80% 완치된다. 치료가 잘 되는 급성 림프모구백혈병은 80~90%까지 치료된다. 다만 치료가 끝났다고 병이 있기 전으로 돌아가는 건 아니다. 미국에서 실시한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소아암 생존자의 60~75%는 평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후기 합병증을 겪고, 그중 30~40%는 정도가 심한 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합병증은 치료 직후가 아니라 수십 년 뒤에 발생하기도 해, 소아암 생존자는 6개월~1년에 한 번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관리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