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성심병원 비뇨의학과 정현철 교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로 한국의 전립선비대증·과민성방광·야뇨증 진료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미국 대규모 의료 데이터와 비교했다.
그 결과, 최근 5년간 한국의 전립선비대증 환자는 2019년 130만 명에서 2023년 150만 명으로 약 15% 증가했고, 관련 의료비도 약 60% 늘었다. 약물 처방 건수는 50% 이상 증가했지만, 수술 건수는 1만1982건에서 1만2698건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정 교수는 “건보 체계상 약물치료 비용 부담이 적어 과다 처방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 결과, 최근 5년간 한국의 전립선비대증 환자는 2019년 130만 명에서 2023년 150만 명으로 약 15% 증가했고, 관련 의료비도 약 60% 늘었다. 약물 처방 건수는 50% 이상 증가했지만, 수술 건수는 1만1982건에서 1만2698건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정 교수는 “건보 체계상 약물치료 비용 부담이 적어 과다 처방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미국은 과민성방광에서 약물 외에도 신경조절술, 보톡스 주입 등 3차 치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보톡스 주입술은 2013년 252건에서 2018년 2007건으로 8배 증가한 반면 한국은 2019년 347건에서 2023년 571건으로 증가 폭이 제한적이었다.
야뇨증 치료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노년층에게 주의가 필요한 데스모프레신 처방 비율은 미국에서 1~3%에 불과하지만, 한국은 약 20%로 확인됐다. 정 교수는 “고령층의 약물 안전성 저하가 우려된다”며 “환자 상태에 맞는 치료 선택권 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World J Mens Health’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