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영훈 교수./사진=서울성모병원 제공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영훈 교수 연구팀이 척추관협착증 수술 후에도 지속되는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를 조기에 구별할 수 있는 뇌척수액 바이오마커를 확인했다. 인터루킨-6(IL-6) 농도가 낮을수록 수술 후 통증이 지속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약물 조절이 어려운 환자를 미리 파악해 적절한 시기에 수술적 치료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로 평가된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신경이 손상되거나 압박돼 발생하는 만성 통증으로, 척추관협착증 환자의 약 30퍼센트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술로 신경 압박을 해소해도 일부 환자에서는 통증이 계속되지만, 어떤 환자에게 통증이 남을지 예측할 지표는 명확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2022년 7월부터 2023년 7월까지 서울성모병원에서 척추관협착증 수술을 받은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진행했다. 환자들은 수술 전·후 여러 시점에서 신경병증성 통증 평가를 받았으며, 수술 전 통증 여부와 수술 후 통증 지속 여부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어 뇌척수액 바이오마커 농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신경 회복 과정에 관여하는 인터루킨-6, 표피 성장인자 수용체 1(Her1), 단핵구 화학유인 단백질-1(MCP-1) 농도가 통증 지속 그룹에서 가장 낮았다. 특히 인터루킨-6 농도는 세 그룹 간 차이가 뚜렷했다. 통증이 없던 그룹은 6.18피코그램/밀리리터, 수술 후 통증이 해소된 그룹은 4.81피코그램/밀리리터, 통증이 지속된 그룹은 1.58피코그램/밀리리터였다.


또한 신경병증성 통증 지속 기간이 길수록 인터루킨-6과 Her1 농도가 더 낮아지는 경향도 관찰됐다. 연구팀은 이를 “신경 압박이 오래 지속될수록 신경 회복 관련 물질이 감소하고 만성 통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커진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김영훈 교수는 “급성기와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은 기전이 달라 치료 전략도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며 “이번 바이오마커 확인은 두 통증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약물 조절이 어려운 환자는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만성 통증으로 이행하는 것을 막는 데 유리하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척추학회지(European Spine Journal)’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