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새움병원 이두연 원장
산책이나 등산, 캠핑을 즐기며 계절의 정취를 만끽하거나, 다가온 마라톤 시즌으로 거리 곳곳에 달리는 이들도 많이 보인다. 이런 시기에는 갑작스럽게 늘어난 활동량으로 인해 관절과 힘줄에 무리가 가기 쉽다. 특히 운동이나 보행 중 발뒤꿈치에 불쾌한 통증이 반복된다면, 이를 단순한 피로로 넘기지 말고, ‘아킬레스건염’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아킬레스건염은 종아리 근육과 발뒤꿈치를 연결하는 우리 몸에서 가장 강한 힘줄인 아킬레스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걸을 때나 뛸 때 추진력을 제공하는 중요한 부위이자 체중의 하중을 직접 받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은 손상도 방치하면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아킬레스건염은 보통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반복적인 활동으로 힘줄에 과부하가 생기면서 발생하는데,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무리한 운동, 장시간의 보행, 불편한 신발 착용, 오랜 시간 앉아 있는 습관 등이 있다. 특히 50세 이상의 중장년층은 아킬레스건의 탄력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더 쉽게 염증이 생기며, 과체중이나 종아리 근력이 약한 경우, 발목 정렬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흔히 스포츠를 자주 즐기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직업상 오래 서 있거나 반대로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는 사람들 모두가 주의해야 하는 질환이다.

증상은 발뒤꿈치나 발목 뒤쪽 부위에 국한된 통증으로 시작되며, 까치발을 들거나 점프할 때 뻐근한 느낌이 강해지고 계단을 오르내릴 때 찌릿한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아리까지 통증이 번질 수 있고, 부종이나 열감이 동반되며 심한 경우에는 휴식 중에도 통증이 지속되기도 한다. 아킬레스건은 혈류 공급이 비교적 적은 부위로, 자연적인 회복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증상을 방치할 경우 힘줄이 파열될 가능성도 있으며, 이때는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하게 된다.


경미한 단계에서는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주사요법 등 보존적 치료로 충분히 회복이 가능하며, 보조기를 사용해 아킬레스건의 움직임을 줄이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그러나 보존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거나 염증이 반복되고 힘줄이 손상된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이나 절개 수술을 통해 손상 부위를 제거하고 다시 봉합해야 하며, 이후에는 재활을 통해 기능을 회복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발에 잘 맞고 뒷굽의 높이가 적절하여 아킬레스건 아래쪽이 편안하게 느껴지는지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다. 굽이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은 신발은 피하고, 뒤꿈치가 앞부분보다 1~2cm 정도 높은 형태의 신발이나 패드를 활용하면 아킬레스건의 긴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하나의 신발만 고집하지 않고 여러 켤레를 번갈아 신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한 종아리 근육을 자주 스트레칭하여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늘 하던 익숙한 운동에서도 부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운동 전후 스트레칭이 중요하며, 자신의 체력에 맞게 운동 강도도 조절해야 한다.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가을철, 건강한 운동 습관과 조기 대처만으로도 아킬레스건염을 충분히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으니 통증이 생기면 참지 않고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빠른 회복의 지름길이다.

(*이 칼럼은 새움병원 이두연 원장의 기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