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이 본인 또는 자신의 가족이 암·중증질환에 걸렸을 때 신약을 쉽게 사용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새롭게 출시되는 신약이 효과는 높지만, 비싼 가격과 이를 뒷받침하는 보험 체계가 개선되고 있지 않아 약이 있어도 사용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다.
◇84% "환자가 부담 없이 쓸 수 있어야 진정한 혁신 신약"
17일 설문조사 전문 기관 엠브레인이 실시한 '신약 혁신성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대다수가 신약의 '혁신성' 평가에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환자가 실제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까지 포함돼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는 지난 8월부터 10월까지 3개월 동안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이 중 암 또는 중증질환 환자·보호자 200명 이상이 포함됐다.
혁신 신약이란 기존에 없던 새로운 기전 또는 완전히 새로운 성분을 기반으로 개발된 약으로, 치료 효과·안전성·투여 편의성 등에서 환자들의 수요를 충족하는 신약을 말한다. 기존 치료제가 공략하지 못한 새로운 기전이거나 표적일수록, 질환에서 환자의 미충족 의료 수요가 클수록 혁신성이 높다고 평가받는다.
조사 결과, 응답자 가운데 본인 혹은 가족이 암 또는 중증질환을 겪을 수 있다고 생각한 경우가 69.5%였고, 69.7%는 그럼에도 신약 사용은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신약 사용이 어려울 것으로 본 가장 큰 요인은 경제적 부담(54.2%)과 정보 부족(52.2%)으로 나타났고, 고령일수록 신약에 대한 정보 부족을 더 큰 문제로 인식했다. 가족이나 본인이 이미 암 또는 중증질환을 겪어 본 응답자 중 47%는 신약 치료를 고려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나, 그 중 74%는 신약 치료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다.
전체 응답자 중 84%는 신약 개발 후 접근성까지 보장돼야 혁신 신약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답했고, 경제적 이유로 사용할 수 없다면 혁신이 아니라고 답한 비중도 82.7%로 집계됐다. 이는 국민 다수가 신약 혁신성을 효능·기술 진보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까지 포함해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혁신 신약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가장 큰 역할을 해야 할 주체로는 89%가 ‘정부’를 꼽았고, 의료진과 제약사의 책임을 강조한 응답자도 각각 83.5%·64.2%였다. 접근성 문제 해결에서 일부 주체의 역할만 강조되고 있다는 의견이 70.8%, 정부·제약사·의료진·환자·언론 등 모든 주체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87.2%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들이 신약 접근성 개선 문제를 사회 공통의 과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신약 접근성 향상을 위해 각 주체에 기대하는 역할도 명확했다. 응답자의 80% 이상이 ‘정부는 신약 가격 평가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하고, 급여 기준 완화·확대를 통해 적용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답했다. 의료진에 대해서는 ‘환자들에게 신약 정보·질환 교육을 제공하고, 환자와 충분한 소통을 통해 최적의 치료 선택을 도와야 한다’고 응답했다.
제약사는 임상시험을 확대하고 합리적인 가격 협상을 통해 접근성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고 봤으며, 환자 단체는 환자 경험 공유를 통한 인식개선과 보건의료 정책 개선을 위한 의견 개진을 이끌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언론의 경우 80% 이상이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정보 전달과 사회적 관심 제고를 통해 제도 개선 논의 확산을 주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정부·업계·의료계·언론 모두 협력해야"
조사 결과 분석 후에는 정부·제약업계·환자단체·언론 등 각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 결과, 환자가 신약의 혁신성을 체감하기 위해서는 제도·산업·사회 전반의 협력이 함께 작동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약가·급여 제도의 구조적 개선이 꼽혔다. 현 제도가 20년 전 틀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과 함께, 전문 인력 부족·심사 절차 지연이 신약 접근의 주요 장애물로 지목됐다. 전문가들은 중증질환 중심의 재정 구조 전환, 절차의 예측 가능성 강화, 환자 상황을 반영한 급여 기준의 유연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지속 가능한 신약 공급 생태계 구축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약가 협상 과정에서 자료의 투명성, 합리적인 가격 협상, 가격 문제로 인한 시장 철수 방지를 위한 제약업계의 책임 있는 노력이 강조됐다. 이 외에도 환자 중심의 의사결정과 사회적 공론화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급여 기준의 경직성이 환자별 치료 선택을 제한한다는 의미다.
조사를 총괄한 엠브레인 리서치 사업부 이지연 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국민들은 신약의 혁신을 기술적 성과를 넘어 실제 환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혁신'이라는 개념을 효과뿐 아니라 접근성까지 포함해 재정의해야 하는 시점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향후 정책과 제도 개선 논의에서도 이러한 국민 인식이 적극 반영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84% "환자가 부담 없이 쓸 수 있어야 진정한 혁신 신약"
17일 설문조사 전문 기관 엠브레인이 실시한 '신약 혁신성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대다수가 신약의 '혁신성' 평가에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환자가 실제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까지 포함돼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는 지난 8월부터 10월까지 3개월 동안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이 중 암 또는 중증질환 환자·보호자 200명 이상이 포함됐다.
혁신 신약이란 기존에 없던 새로운 기전 또는 완전히 새로운 성분을 기반으로 개발된 약으로, 치료 효과·안전성·투여 편의성 등에서 환자들의 수요를 충족하는 신약을 말한다. 기존 치료제가 공략하지 못한 새로운 기전이거나 표적일수록, 질환에서 환자의 미충족 의료 수요가 클수록 혁신성이 높다고 평가받는다.
조사 결과, 응답자 가운데 본인 혹은 가족이 암 또는 중증질환을 겪을 수 있다고 생각한 경우가 69.5%였고, 69.7%는 그럼에도 신약 사용은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신약 사용이 어려울 것으로 본 가장 큰 요인은 경제적 부담(54.2%)과 정보 부족(52.2%)으로 나타났고, 고령일수록 신약에 대한 정보 부족을 더 큰 문제로 인식했다. 가족이나 본인이 이미 암 또는 중증질환을 겪어 본 응답자 중 47%는 신약 치료를 고려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나, 그 중 74%는 신약 치료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다.
전체 응답자 중 84%는 신약 개발 후 접근성까지 보장돼야 혁신 신약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답했고, 경제적 이유로 사용할 수 없다면 혁신이 아니라고 답한 비중도 82.7%로 집계됐다. 이는 국민 다수가 신약 혁신성을 효능·기술 진보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까지 포함해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혁신 신약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가장 큰 역할을 해야 할 주체로는 89%가 ‘정부’를 꼽았고, 의료진과 제약사의 책임을 강조한 응답자도 각각 83.5%·64.2%였다. 접근성 문제 해결에서 일부 주체의 역할만 강조되고 있다는 의견이 70.8%, 정부·제약사·의료진·환자·언론 등 모든 주체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87.2%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들이 신약 접근성 개선 문제를 사회 공통의 과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신약 접근성 향상을 위해 각 주체에 기대하는 역할도 명확했다. 응답자의 80% 이상이 ‘정부는 신약 가격 평가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하고, 급여 기준 완화·확대를 통해 적용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답했다. 의료진에 대해서는 ‘환자들에게 신약 정보·질환 교육을 제공하고, 환자와 충분한 소통을 통해 최적의 치료 선택을 도와야 한다’고 응답했다.
제약사는 임상시험을 확대하고 합리적인 가격 협상을 통해 접근성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고 봤으며, 환자 단체는 환자 경험 공유를 통한 인식개선과 보건의료 정책 개선을 위한 의견 개진을 이끌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언론의 경우 80% 이상이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정보 전달과 사회적 관심 제고를 통해 제도 개선 논의 확산을 주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정부·업계·의료계·언론 모두 협력해야"
조사 결과 분석 후에는 정부·제약업계·환자단체·언론 등 각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 결과, 환자가 신약의 혁신성을 체감하기 위해서는 제도·산업·사회 전반의 협력이 함께 작동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약가·급여 제도의 구조적 개선이 꼽혔다. 현 제도가 20년 전 틀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과 함께, 전문 인력 부족·심사 절차 지연이 신약 접근의 주요 장애물로 지목됐다. 전문가들은 중증질환 중심의 재정 구조 전환, 절차의 예측 가능성 강화, 환자 상황을 반영한 급여 기준의 유연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지속 가능한 신약 공급 생태계 구축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약가 협상 과정에서 자료의 투명성, 합리적인 가격 협상, 가격 문제로 인한 시장 철수 방지를 위한 제약업계의 책임 있는 노력이 강조됐다. 이 외에도 환자 중심의 의사결정과 사회적 공론화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급여 기준의 경직성이 환자별 치료 선택을 제한한다는 의미다.
조사를 총괄한 엠브레인 리서치 사업부 이지연 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국민들은 신약의 혁신을 기술적 성과를 넘어 실제 환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혁신'이라는 개념을 효과뿐 아니라 접근성까지 포함해 재정의해야 하는 시점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향후 정책과 제도 개선 논의에서도 이러한 국민 인식이 적극 반영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