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찬바람이 부는 환절기와 겨울철에는 감기·비염으로 코가 자주 막히는데, 특히 한쪽 코만 더 답답해지는 경우가 많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찬바람에 계속 노출되는 환절기와 겨울철에는 감기나 비염 증상이 자주 나타난다. 특히 코막힘이 흔한데, 유독 한쪽 코만 답답한 경우가 많다. 감기에 걸리면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까?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좌우 콧구멍을 번갈아 사용한다. 이를 ‘비주기’라고 하며, 자율신경계가 조절해 보통 1~4시간 간격으로 좌우 점막 상태가 달라진다. 한쪽 코점막이 수축해 숨길이 넓어지면 반대쪽은 자연스럽게 부풀어 올라 숨길이 좁아지며, 이렇게 번갈아 쉬는 패턴이 정상적인 호흡 방식이다.

한쪽 코가 특히 더 막히는 이유도 이 비주기와 관련이 있다. 감기 바이러스나 찬 공기가 들어오면 콧속의 ‘하비갑개’가 자극돼 쉽게 부어오른다. 하비갑개는 공기 온도·습도·먼지 등을 조절하는 조직인데, 비주기로 이미 공간이 좁아져 있는 쪽에서 하비갑개까지 부풀면 숨길이 거의 막히게 된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넓게 열려 있던 쪽은 하비갑개가 부어도 공기가 드나들 여유가 있어 덜 막힌다.


누웠을 때 코막힘이 유독 심해지는 것도 같은 원리다. 누운 자세에서는 머리 쪽으로 혈액이 몰리면서 하비갑개가 더 잘 붓고, 옆으로 눕는 경우 바닥 쪽 콧구멍이 더 답답하게 느껴진다.

한편, 특별한 자극 없이 한쪽 코에서만 잦은 코피가 난다면 다른 질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비부비동 종양은 비강과 부비동에 생기는 종양으로, 대개 비대칭적으로 발생해 한쪽 코에서만 코막힘이나 코피가 반복될 수 있다. 비중격이 심하게 휘어 있는 ‘비중격 만곡증’ 역시 한쪽 코를 막히게 하고 건조한 쪽에서만 코피가 나는 원인이 된다. 또 한쪽 콧구멍이 콧물이나 염증으로 좁아지면 반대쪽에서만 코피가 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