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아이스크림 ‘메롱바’가 국내 편의점 아이스크림 시장의 판도를 흔들고 있다. 편의점 GS25가 지난 9월 판매를 시작한 이후 2주 만에 80만 개가 팔렸고, 두 달 만에 누적 판매량 500만 개를 넘어섰다. 월드콘·메로나 등 장기간 상위권을 지켜온 상품들을 제치고 매출 1위에 올랐다.
메롱바는 녹아도 액체로 흐르지 않고 젤리처럼 형태가 유지되는 독특한 제형이다. 젤리 형태가 혀 모양처럼 보인다는 점이 SNS를 중심으로 화제 되며 잘파세대(Z세대와 알파세대를 아우르는 신조어)의 호기심 소비를 자극했다. 출시 직후 GS25 전체 아이스크림 매출도 덩달아 상승했다. 지난 9월 11일부터 11월 12일까지 아이스크림 매출 증가율은 60%에 달했다. 같은 기간 바 형태 아이스크림 매출은 140% 넘게 급증했다.
뒤이어 CU와 세븐일레븐도 메롱바를 들여오며 판매 경쟁에 뛰어들었고, 인기에 힘입어 프로즌 소르베·젤롱바 등 다른 중국산 제품들도 국내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GS25가 지난달 선보인 후속 상품 ‘딸기메롱바’ 역시 출시 일주일 만에 아이스크림 매출 2위에 올랐다.
그러나 급격한 인기에 비례해 안전성 우려도 커지고 있다. 메롱바를 포함한 일부 중국산 아이스크림에 ‘타르계 식용색소’와 ‘코치닐’ 등이 쓰인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소비자들의 질문이 쏟아지고 있다. 식품업계에 따르면 중국산 아이스크림에 사용되는 황색 제4호·청색 제1호 등 타르색소는 국내 기준상 사용이 가능하다. 국내 제조사들은 유해성 논란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 성분이다. 메롱바 포장지의 원재료명을 보면 식용색소 황색 제4호·청색 제1호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럽연합(EU)은 황색 제4호를 천식 유발 가능 물질로, 청색 제1호를 어린이 과잉행동과 연관된 색소로 분류해 주의를 권고해 왔다. 미국도 같은 이유로 2027년부터 타르색소 사용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실제 그동안 중국산 식품 위생 문제가 여러 차례 논란을 부른 바 있다. 흰깨에 색소를 입혀 검정깨로 둔갑시키거나, 김치 제조 과정에서 색소를 사용해 색을 강화하는 사례 등이 보도되며 불신이 커진 상황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원산지와 색소 사용 여부를 소비자가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인하대 소비자학과 이은희 교수는 YTN과의 인터뷰를 통해 “국내 기준에는 부합하지만, 타르 색소는 국제적으로 여전히 논란이 많은 성분이라 자녀를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는 중국산 아이스크림을 사먹이는 게 불안할 수 있다”며 “소비자가 중국산 여부나 성분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메롱바는 녹아도 액체로 흐르지 않고 젤리처럼 형태가 유지되는 독특한 제형이다. 젤리 형태가 혀 모양처럼 보인다는 점이 SNS를 중심으로 화제 되며 잘파세대(Z세대와 알파세대를 아우르는 신조어)의 호기심 소비를 자극했다. 출시 직후 GS25 전체 아이스크림 매출도 덩달아 상승했다. 지난 9월 11일부터 11월 12일까지 아이스크림 매출 증가율은 60%에 달했다. 같은 기간 바 형태 아이스크림 매출은 140% 넘게 급증했다.
뒤이어 CU와 세븐일레븐도 메롱바를 들여오며 판매 경쟁에 뛰어들었고, 인기에 힘입어 프로즌 소르베·젤롱바 등 다른 중국산 제품들도 국내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GS25가 지난달 선보인 후속 상품 ‘딸기메롱바’ 역시 출시 일주일 만에 아이스크림 매출 2위에 올랐다.
그러나 급격한 인기에 비례해 안전성 우려도 커지고 있다. 메롱바를 포함한 일부 중국산 아이스크림에 ‘타르계 식용색소’와 ‘코치닐’ 등이 쓰인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소비자들의 질문이 쏟아지고 있다. 식품업계에 따르면 중국산 아이스크림에 사용되는 황색 제4호·청색 제1호 등 타르색소는 국내 기준상 사용이 가능하다. 국내 제조사들은 유해성 논란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 성분이다. 메롱바 포장지의 원재료명을 보면 식용색소 황색 제4호·청색 제1호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럽연합(EU)은 황색 제4호를 천식 유발 가능 물질로, 청색 제1호를 어린이 과잉행동과 연관된 색소로 분류해 주의를 권고해 왔다. 미국도 같은 이유로 2027년부터 타르색소 사용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실제 그동안 중국산 식품 위생 문제가 여러 차례 논란을 부른 바 있다. 흰깨에 색소를 입혀 검정깨로 둔갑시키거나, 김치 제조 과정에서 색소를 사용해 색을 강화하는 사례 등이 보도되며 불신이 커진 상황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원산지와 색소 사용 여부를 소비자가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인하대 소비자학과 이은희 교수는 YTN과의 인터뷰를 통해 “국내 기준에는 부합하지만, 타르 색소는 국제적으로 여전히 논란이 많은 성분이라 자녀를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는 중국산 아이스크림을 사먹이는 게 불안할 수 있다”며 “소비자가 중국산 여부나 성분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