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한 미생물학자가 먹다 남은 피자에서 자라는 박테리아의 양을 실험한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 10일(현지 시각) 외신 매체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의 생물학자 니컬러스 아이처가 테이크아웃 피자를 구매한 직후와, 하루가 지난 뒤 피자에 증식한 박테리아 증식 정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틱톡 계정을 통해 공개한 실험 영상에는 그가 치즈와 페페로니로 된 피자를 면봉으로 문질러 표본을 채취하고, 다음 날 동일한 방식으로 남은 피자에서도 표본을 얻어 배양 접시에 옮기는 모습이 담겼다.
일정 시간이 지나고 배양 접시를 확인한 결과, 구매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치즈 피자에는 세균이 거의 없었으나 신선한 페퍼로니 피자에서는 다량의 박테리아가 발견됐다. 또 하루가 지난 치즈 피자에서는 약간의 세균 증식이 관찰됐으나, 페페로니 피자에서는 오히려 구매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치즈 피자보다 적은 양의 박테리아가 관찰됐다.
실험 결과를 접한 누리꾼은 “페페로니에 소금이 많이 함유돼 박테리아가 자라기 어려운가보다” “그래도 먹을 거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실제로 페페로니, 베이컨 등 가공식품에는 미생물의 번식을 막아 식품을 조금 더 신선하게 유지하게 하는 화합물인 식품 방부제가 들어간다. 식품 방부제는 박테리아나 곰팡이 등의 활동을 억제해 식품 신선도를 유지하고 식품 보존 기간을 연장하지만, 과다 섭취하면 ▲알레르기 반응 ▲호르몬 교란 ▲소화 장애 ▲신경계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실험을 진행한 아이처는 이번 실험과 관련해 “평소 우리가 신경 쓰지 않는 음식 속 미생물의 존재를 재미있게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아이처는 평소 재미있는 실험으로 생활 속 과학 상식을 대중에 알리는 생물학자로 유명하다.지난 4월, 떨어진 음식을 5초 안에 주워 먹으면 안전하다는 ‘5초 룰’의 진위를 실험한 영상으로 화제가 된 바 있다.
지난 10일(현지 시각) 외신 매체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의 생물학자 니컬러스 아이처가 테이크아웃 피자를 구매한 직후와, 하루가 지난 뒤 피자에 증식한 박테리아 증식 정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틱톡 계정을 통해 공개한 실험 영상에는 그가 치즈와 페페로니로 된 피자를 면봉으로 문질러 표본을 채취하고, 다음 날 동일한 방식으로 남은 피자에서도 표본을 얻어 배양 접시에 옮기는 모습이 담겼다.
일정 시간이 지나고 배양 접시를 확인한 결과, 구매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치즈 피자에는 세균이 거의 없었으나 신선한 페퍼로니 피자에서는 다량의 박테리아가 발견됐다. 또 하루가 지난 치즈 피자에서는 약간의 세균 증식이 관찰됐으나, 페페로니 피자에서는 오히려 구매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치즈 피자보다 적은 양의 박테리아가 관찰됐다.
실험 결과를 접한 누리꾼은 “페페로니에 소금이 많이 함유돼 박테리아가 자라기 어려운가보다” “그래도 먹을 거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실제로 페페로니, 베이컨 등 가공식품에는 미생물의 번식을 막아 식품을 조금 더 신선하게 유지하게 하는 화합물인 식품 방부제가 들어간다. 식품 방부제는 박테리아나 곰팡이 등의 활동을 억제해 식품 신선도를 유지하고 식품 보존 기간을 연장하지만, 과다 섭취하면 ▲알레르기 반응 ▲호르몬 교란 ▲소화 장애 ▲신경계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실험을 진행한 아이처는 이번 실험과 관련해 “평소 우리가 신경 쓰지 않는 음식 속 미생물의 존재를 재미있게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아이처는 평소 재미있는 실험으로 생활 속 과학 상식을 대중에 알리는 생물학자로 유명하다.지난 4월, 떨어진 음식을 5초 안에 주워 먹으면 안전하다는 ‘5초 룰’의 진위를 실험한 영상으로 화제가 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