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서울성모병원 대장암센터 이윤석 교수./사진=서울성모병원 제공
서울성모병원 대장암센터 이윤석 교수 연구팀이 단일공 로봇수술이 단일공 복강경보다 출혈과 전환 비율이 낮고 회복이 빠르다는 다기관 매칭 코호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최소침습 수술 두 방식을 동일 기준으로 비교한 첫 다기관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2023년 4월까지 가톨릭대·경북대·울산대·이화여대병원에서 시행된 단일공 로봇수술 환자 자료를 후향 분석했다. 연구팀은 성향점수 매칭을 통해 로봇수술 95명, 복강경 86명으로 비교군을 구성했으며, 전이가 없는 우측 결장·S상결장 선암(병기 1~3기) 환자로 대상을 제한했다.

주요 수술 지표에서는 로봇수술의 우위가 뚜렷했다. 평균 수술 시간은 두 군 모두 약 180분으로 비슷했지만, 추정 출혈량은 복강경 72.1mL 대비 로봇 33.7mL, 다른 술식으로의 전환 비율은 복강경 12.8%·로봇 2.1%, 수술 중 합병증은 복강경 7.0%·로봇 0%였다. 연구팀은 단일공 복강경의 단점인 시야·조작 각도 제한과 기구 간섭제약을 로봇 플랫폼이 보완하면서 안정성이 향상된 것으로 해석했다.


연구팀은 전체 데이터를 활용한 역확률가중(IPTW) 분석도 수행했으며, 이 분석에서도 로봇수술의 출혈 감소와 전환율 감소 등 일관된 결과가 확인됐다. 다만 연구진은 다기관 연구 특성상 의료기관별 술기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제한점으로 언급했다.

이윤석 교수는 “단일공 로봇수술이 출혈과 전환을 줄이고 환자 회복을 앞당길 수 있음을 다기관 데이터로 확인했다”며 “향후 표준화된 프로토콜과 장기 추적이 축적되면 로봇수술이 최소침습 대장암 치료의 유력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Surgical Endoscopy’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