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전 세계 아동·청소년의 고혈압 유병률이 지난 20년 동안 거의 두 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전 세계 아동·청소년의 고혈압 유병률이 지난 20년 동안 거의 두 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에든버러대 우셔 연구소의 글로벌건강센터 소장인 이고르 루단 교수 연구팀은 아동·청소년 40만 명을 대상으로 21개국에서 수행된 96개의 연구 데이터를 종합해 분석했다.

그 결과, 19세 미만 아동·청소년의 고혈압 유병률은 2000년 약 3.2%에서 2020년 약 6.2%로 상승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1000만 명 이상의 아동·청소년이 성인이 되기 전부터 고혈압 상태에 놓여 있다는 의미다.

연구진은 유병률 급증의 주된 원인으로 비만을 지목했다. 분석 대상 중 비만 아동·청소년의 고혈압 유병률은 거의 19%에 달했지만, 정상 체중군은 3% 미만이었다. 또한 고혈압 직전 상태인 ‘전고혈압’ 비율은 전체 아동의 약 8.2%, 청소년기에는 약 11.8%로 나타났다. 루단 교수는 “조기 청소년기(14세 전후)부터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이 특히 남아에서 두드러졌다”며 “이 연령대에서는 정기적인 혈압 검사와 생활 습관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혈압 진단이 실제보다 적게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병원에서 세 차례 이상 혈압을 측정하면 고혈압 유병률은 약 4.3%였으나, 가정이나 활동 중 측정했을 때는 6.7%로 높아졌다. 같은 아이라도 어디서 혈압을 재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혈압 측정 환경에 따른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가면 고혈압’과 ‘백의 고혈압’ 개념으로 설명했다. 가면 고혈압은 병원에서는 정상으로 나오지만 일상에서는 혈압이 높은 경우다. 전 세계 아동·청소년의 약 9.2%가 이에 해당하고, 실제로는 진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백의 고혈압은 병원에서만 혈압이 높게 나오는 상태로, 전체의 약 5.2%가 해당하며 실제로는 정상 혈압임에도 고혈압으로 오인될 수 있다.

루단 교수는 이번 연구가 단순한 통계 보고를 넘어, 어린 시절 생활 습관이 평생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경고라고 설명했다. 그는 “고혈압은 조용히 진행되는 질병이지만, 그 시작 나이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며 “가정과 학교, 보건당국이 협력해 조기 검진과 예방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소아·청소년 고혈압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생활 습관에서 비롯된 일차성 고혈압이다. 원인 질환이 있는 이차성 고혈압도 있으나 최근에는 비만, 고열량 식습관,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한 사례가 빠르게 늘고 있다. 지샘병원 조영규 일반검진센터장(가정의학과 전문의)은 “소아청소년 고혈압은 비만의 증가와 함께 당연히 늘고 있다”며 “정크푸드와 가당음료 섭취 증가, 신체활동 감소, 좌식 생활의 일상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전 세계적 추세와 다르지 않다”며 “무엇보다 건강한 생활 습관 교육이 소아청소년 고혈압 예방의 핵심”이라고 했다.

고혈압 예방을 위해서는 고염분·고열량 식단을 줄이는 것이 우선이다. 나트륨 섭취가 많으면 혈압이 쉽게 올라가고, 가공식품·패스트푸드·탄산음료 등은 열량과 당분이 높아 체중 증가로 이어진다. 대신 신선한 채소, 과일, 통곡물, 살코기, 생선 중심의 균형 잡힌 식단이 권장된다.
소아·청소년기는 성장이 함께 이뤄지는 시기인 만큼 단기간의 무리한 체중감량은 피해야 한다. 대신 하루 60분 이상 걷기, 자전거 타기, 줄넘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대로 TV 시청이나 스마트폰 사용 등 좌식 생활 시간이 길수록 고혈압 위험이 커진다. 수면도 중요하다. 수면 부족은 교감신경을 자극해 혈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성장기 아동의 경우 하루 8~10시간의 충분한 수면이 권장된다.

가족 중 고혈압 병력이 있거나 비만·당뇨·고지혈증이 있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혈압 측정을 통해 조기 진단과 관리가 필요하다. 조영규 센터장은 “소아청소년기의 고혈압은 성인기 심혈관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어릴 때부터 식습관과 운동 습관을 바로잡는 것이 성인병 예방의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The Lancet Child and Adolescent Health’에 지난 12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