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마시는 오렌지주스 한 잔이 우리 몸속 유전자 활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브라질 상파울루대학교 연구팀은 21세에서 36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3일간 감귤류 섭취를 중단하게 한 뒤, 60일 동안 하루 500mL의 저온살균 오렌지주스를 두 번에 나눠 마시도록 했다.
연구팀은 섭취 전후 혈액을 분석해 면역세포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비교했다. 그 결과, 오렌지주스를 꾸준히 마신 후 참가자들의 혈압 조절, 염증 반응, 지방 대사 등과 관련된 유전자가 유의미하게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을 일으키는 신호 단백질(IL-1B, IL-6 등)의 활성이 낮아졌고, 혈관 확장과 대사 기능을 돕는 유전자의 작용은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반응 차이도 확인됐다. 정상 체중인 참가자에게서는 염증 조절과 면역 반응 관련 유전자가 두드러지게 변했으며, 과체중 참가자에게서는 지방 대사와 에너지 소비에 관련된 유전자의 변화가 뚜렷했다. 같은 양의 오렌지주스를 마셔도 체중 상태에 따라 몸이 보이는 반응이 달랐다.
이러한 변화에는 오렌지에 풍부한 ‘플라바논(flavanone)’ 계열의 식물성 항산화 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됐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헤스페리딘(hesperidin)과 나린게닌(naringenin)이 있다. 이들은 혈관을 확장하고 염증을 완화하며 지질 대사 경로를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오렌지주스의 성분이 세포 수준에서 혈압, 염증, 지방 대사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연구에 참여한 인원이 20명으로 적고, 대조군 음료가 포함되지 않은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뉴트리션 앤드 푸드 리서치(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에 최근 게재됐다.
브라질 상파울루대학교 연구팀은 21세에서 36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3일간 감귤류 섭취를 중단하게 한 뒤, 60일 동안 하루 500mL의 저온살균 오렌지주스를 두 번에 나눠 마시도록 했다.
연구팀은 섭취 전후 혈액을 분석해 면역세포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비교했다. 그 결과, 오렌지주스를 꾸준히 마신 후 참가자들의 혈압 조절, 염증 반응, 지방 대사 등과 관련된 유전자가 유의미하게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을 일으키는 신호 단백질(IL-1B, IL-6 등)의 활성이 낮아졌고, 혈관 확장과 대사 기능을 돕는 유전자의 작용은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반응 차이도 확인됐다. 정상 체중인 참가자에게서는 염증 조절과 면역 반응 관련 유전자가 두드러지게 변했으며, 과체중 참가자에게서는 지방 대사와 에너지 소비에 관련된 유전자의 변화가 뚜렷했다. 같은 양의 오렌지주스를 마셔도 체중 상태에 따라 몸이 보이는 반응이 달랐다.
이러한 변화에는 오렌지에 풍부한 ‘플라바논(flavanone)’ 계열의 식물성 항산화 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됐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헤스페리딘(hesperidin)과 나린게닌(naringenin)이 있다. 이들은 혈관을 확장하고 염증을 완화하며 지질 대사 경로를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오렌지주스의 성분이 세포 수준에서 혈압, 염증, 지방 대사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연구에 참여한 인원이 20명으로 적고, 대조군 음료가 포함되지 않은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뉴트리션 앤드 푸드 리서치(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