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도 이상 아토피피부염,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 치료 효과 입증
중등도 이상 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임상 결과가 나왔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석준 교수와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서성준 교수 연구팀이 자가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한 다기관 무작위 대조 임상 2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중앙대병원을 비롯해 서울대병원, 경희대병원, 충남대병원, 고려대안산병원, 보라매병원 등 6개 대학병원이 참여했다. 총 114명의 중등도에서 중증의 아토피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팀은 4주 간격으로 2회에 걸쳐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정맥주사한 뒤 16주간 치료 효과와 부작용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치료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EASI 점수가 유의미하게 개선됐다. 치료 시작 후 16주차에 EASI 점수가 위약군에서는 2.54 감소한 반면, 치료군에서는 9.26 감소했고, 75% 이상 호전을 보인 환자 비율(EASI-75) 역시 치료군이 23.7%로, 위약군 7.3% 대비 유의하게 높은 개선율을 보였다. 또한 SCORAD, IGA 등의 임상 지표 역시 치료군에서 개선을 보였다.
혈액 내 염증 지표 분석에서도 아토피피부염의 대표적 바이오마커인 TARC(CCL17) 수치가 치료군에서 현저히 감소했으며, 중대한 이상반응이나 심각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자가 지방에서 얻은 줄기세포가 아토피피부염의 염증 반응을 조절하고 증상을 완화할 수 있음을 임상적으로 입증한 대규모 무작위 대조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기존 면역억제제나 생물학적 제제와 달리, 줄기세포 치료는 인체 고유의 면역조절 기능을 활용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줬으며, 향후 3상 임상시험을 통해 장기적 효과와 안전성을 추가로 검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줄기세포를 활용한 아토피피부염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대규모 임상 연구로 평가받고 있으며, 향후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 결과는 SCIE급 국제학술지 ‘Stem Cell Research & Therapy’에 게재될 예정이다.
■남기지 않는 한 끼… 중앙대광명병원, ‘비움챌린지’로 ESG 실천
중앙대광명병원이 전 교직원이 함께하는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인 ‘비움챌린지’를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개최했다고 밝혔다.
‘오늘 비우고, 내일을 채우다’를 슬로건으로 한 이번 캠페인은 중앙대광명병원 교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잔반 없는 식습관으로 환경 보호를 실천하는 참여형 프로그램이다.
중앙대광명병원은 성공적인 캠페인 운영을 위해 국내 의료기관 최초로 ‘AI 푸드스캐너’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AI 푸드스캐너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식판의 음식 종류와 잔반량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장비로, 병원 측은 이번 도입을 통해 잔반량을 최대 50%까지 줄였고, 리워드 제도를 운영해 교직원의 자발적 참여와 지속적인 친환경 실천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용기내 챌린지’를 통해 개인 텀블러를 지참하는 직원들에게 음료를 제공하며 환경보호를 실천해 교직원의 큰 호응을 이끌었다. 한 교직원은 “작은 실천이지만, 함께하니 의미가 더 크게 느껴진다”며 “이런 캠페인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병원은 ‘비움을 실천한 우리의 모습’을 기념하기 위해 포토부스 이벤트를 진행했다.
정용훈 병원장은 “중앙대광명병원은 ESG 가치를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문화를 정착시키고, 나아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활동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중등도 이상 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임상 결과가 나왔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석준 교수와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서성준 교수 연구팀이 자가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한 다기관 무작위 대조 임상 2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중앙대병원을 비롯해 서울대병원, 경희대병원, 충남대병원, 고려대안산병원, 보라매병원 등 6개 대학병원이 참여했다. 총 114명의 중등도에서 중증의 아토피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팀은 4주 간격으로 2회에 걸쳐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정맥주사한 뒤 16주간 치료 효과와 부작용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치료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EASI 점수가 유의미하게 개선됐다. 치료 시작 후 16주차에 EASI 점수가 위약군에서는 2.54 감소한 반면, 치료군에서는 9.26 감소했고, 75% 이상 호전을 보인 환자 비율(EASI-75) 역시 치료군이 23.7%로, 위약군 7.3% 대비 유의하게 높은 개선율을 보였다. 또한 SCORAD, IGA 등의 임상 지표 역시 치료군에서 개선을 보였다.
혈액 내 염증 지표 분석에서도 아토피피부염의 대표적 바이오마커인 TARC(CCL17) 수치가 치료군에서 현저히 감소했으며, 중대한 이상반응이나 심각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자가 지방에서 얻은 줄기세포가 아토피피부염의 염증 반응을 조절하고 증상을 완화할 수 있음을 임상적으로 입증한 대규모 무작위 대조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기존 면역억제제나 생물학적 제제와 달리, 줄기세포 치료는 인체 고유의 면역조절 기능을 활용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줬으며, 향후 3상 임상시험을 통해 장기적 효과와 안전성을 추가로 검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줄기세포를 활용한 아토피피부염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대규모 임상 연구로 평가받고 있으며, 향후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 결과는 SCIE급 국제학술지 ‘Stem Cell Research & Therapy’에 게재될 예정이다.
■남기지 않는 한 끼… 중앙대광명병원, ‘비움챌린지’로 ESG 실천
중앙대광명병원이 전 교직원이 함께하는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인 ‘비움챌린지’를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개최했다고 밝혔다.
‘오늘 비우고, 내일을 채우다’를 슬로건으로 한 이번 캠페인은 중앙대광명병원 교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잔반 없는 식습관으로 환경 보호를 실천하는 참여형 프로그램이다.
중앙대광명병원은 성공적인 캠페인 운영을 위해 국내 의료기관 최초로 ‘AI 푸드스캐너’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AI 푸드스캐너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식판의 음식 종류와 잔반량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장비로, 병원 측은 이번 도입을 통해 잔반량을 최대 50%까지 줄였고, 리워드 제도를 운영해 교직원의 자발적 참여와 지속적인 친환경 실천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용기내 챌린지’를 통해 개인 텀블러를 지참하는 직원들에게 음료를 제공하며 환경보호를 실천해 교직원의 큰 호응을 이끌었다. 한 교직원은 “작은 실천이지만, 함께하니 의미가 더 크게 느껴진다”며 “이런 캠페인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병원은 ‘비움을 실천한 우리의 모습’을 기념하기 위해 포토부스 이벤트를 진행했다.
정용훈 병원장은 “중앙대광명병원은 ESG 가치를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문화를 정착시키고, 나아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활동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