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 세척용, 직접 점안은 금물… 각막 손상 위험
눈이 건조할 때 인공눈물이 없으면 급한 마음에 콘택트렌즈 세척액을 눈에 넣는 사람들이 있다. 특히 렌즈 착용자들은 눈의 건조함을 자주 느끼기 때문에 ‘임시방편’으로 세척액을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실제 포털 사이트에서도 “리뉴를 인공눈물 대신 써도 되나요?”라는 질문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정말 괜찮은 걸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절대 권장되지 않는다. 바슈롬코리아(리뉴) 교육팀 관계자는 “해당 제품은 콘택트렌즈 세척 및 보존 용도로 허가받은 제품이며, 눈에 직접 점안하는 용도로는 사용을 안내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안과 전문의들도 이 같은 행동이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콘택트렌즈 세척액은 기본적으로 렌즈를 세척·살균·보존하기 위한 용액으로, 안구건조증을 완화하는 인공누액(인공눈물)과는 성분 구성부터 다르기 때문이다. 아이리움안과 최진영 원장은 “렌즈에 소량 묻어 있거나 실수로 한두 방울 눈에 들어간 정도는 큰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세척액에는 소독을 위한 성분이 포함돼 있어 직접 점안하면 각막이나 결막이 자극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하늘안과의원 한태원 원장도 “콘택트렌즈 보존액에는 PHMB 등 살균제 성분과 붕산 등 여러 화학 성분이 들어 있어 인공눈물처럼 사용하면 안 된다”며 “안약처럼 사용할 경우 각막·결막에 화학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세척액으로 렌즈를 세척한 뒤 생리식염수 등으로 헹구는 게 권장되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최 원장은 “렌즈 착용자들은 리뉴와 같은 세척액을 사용할 때, 렌즈 세정 후 반드시 생리식염수나 멸균 세척용액으로 헹군 뒤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세정액이 그대로 남으면 각막 자극이나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시력교정술 전 검사에서 착용·관리 부주의로 각막에 상처가 생겨 수술이 연기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고 한다.
렌즈 착용자나 눈이 자주 건조한 사람이라면 인공눈물을 항상 휴대하고, 건조감이 느껴질 때마다 한 번에 한 방울씩 자주 점안하는 것이 좋다. 최진영 원장은 “인공눈물이 없다면 잠시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하거나, 따뜻한 찜질로 눈 주위 혈류를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건조감이 완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하버드대 의대 연구에 따르면 안구건조증 환자에게 15분 온찜질을 했더니 눈물막의 지질 성분이 증가해 건조함이 개선됐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절대 권장되지 않는다. 바슈롬코리아(리뉴) 교육팀 관계자는 “해당 제품은 콘택트렌즈 세척 및 보존 용도로 허가받은 제품이며, 눈에 직접 점안하는 용도로는 사용을 안내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안과 전문의들도 이 같은 행동이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콘택트렌즈 세척액은 기본적으로 렌즈를 세척·살균·보존하기 위한 용액으로, 안구건조증을 완화하는 인공누액(인공눈물)과는 성분 구성부터 다르기 때문이다. 아이리움안과 최진영 원장은 “렌즈에 소량 묻어 있거나 실수로 한두 방울 눈에 들어간 정도는 큰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세척액에는 소독을 위한 성분이 포함돼 있어 직접 점안하면 각막이나 결막이 자극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하늘안과의원 한태원 원장도 “콘택트렌즈 보존액에는 PHMB 등 살균제 성분과 붕산 등 여러 화학 성분이 들어 있어 인공눈물처럼 사용하면 안 된다”며 “안약처럼 사용할 경우 각막·결막에 화학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세척액으로 렌즈를 세척한 뒤 생리식염수 등으로 헹구는 게 권장되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최 원장은 “렌즈 착용자들은 리뉴와 같은 세척액을 사용할 때, 렌즈 세정 후 반드시 생리식염수나 멸균 세척용액으로 헹군 뒤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세정액이 그대로 남으면 각막 자극이나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시력교정술 전 검사에서 착용·관리 부주의로 각막에 상처가 생겨 수술이 연기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고 한다.
렌즈 착용자나 눈이 자주 건조한 사람이라면 인공눈물을 항상 휴대하고, 건조감이 느껴질 때마다 한 번에 한 방울씩 자주 점안하는 것이 좋다. 최진영 원장은 “인공눈물이 없다면 잠시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하거나, 따뜻한 찜질로 눈 주위 혈류를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건조감이 완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하버드대 의대 연구에 따르면 안구건조증 환자에게 15분 온찜질을 했더니 눈물막의 지질 성분이 증가해 건조함이 개선됐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