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욕실 청소할 때 락스를 세정제와 함께 사용하는 습관이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문가의 경고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욕실 청소할 때 락스를 세정제와 함께 사용하는 습관이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문가의 경고가 나왔다.

이화여대 과학교육학 최은정 박사는 최근 유튜브 채널 ‘의사친’에 출연해 “락스를 세정제나 산성 세정제(식초·구연산 등)와 함께 쓰면 독성이 강한 염소가스가 발생한다”며 “이 가스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살상용으로 쓰인 독가스와 같은 성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일본에서도 주부가 락스와 세정제를 혼합해 청소하다 사망한 사례가 있다”고 했다.

이 같은 조합은 단순히 냄새 자극에 그치지 않고, 마스크를 착용해도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최 박사는 “염소가스는 입자가 매우 작아 KF-94 마스크로도 걸러지지 않는다”며 “락스의 강한 염기성 성질은 폐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방송 실험 준비 중 장시간 노출됐다가 화학성 폐렴을 진단받은 적이 있다”며 “폐포 깊숙이 스며든 가스는 잘 빠져나가지 않고, 치료제도 마땅치 않아 고생했다”고 했다.


락스가 가진 강한 단백질 분해력도 또 다른 위험 요인이다. 최 박사는 “머리카락을 락스에 담가두면 15분 만에 녹는다”며 “시중의 ‘순한 곰팡이 제거제’ 역시 주성분이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사실상 락스와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소금으로 만들어 안전하다’는 문구가 붙은 세정제에 대해서도 주의가 필요하다. 최 박사는 “이들 제품에는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경우가 많으며, 이는 소금과 전혀 다른 화학물질”이라며 “나트륨이 들어갔다고 해서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가정에서는 락스를 대신할 안전한 청소 방법을 사용할 것을 권한다. 최 박사는 “과탄산소다를 50~60도의 물에 녹여 사용하거나 치약을 소량 섞어 연마 효과를 내면 찌든 때 제거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이어 “행주는 물에 적신 뒤 전자레인지에 30초~1분간 가열하면 충분히 소독되고, 샤워기 헤드의 물때는 락스 대신 구연산 용액으로 제거하는 것이 안전하다”며 “베이킹소다는 찌든 때 제거용이 아니라 평소 관리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