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10명 중 4명이 평소 외로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사회적 관계망이 거의 없는 ‘고립형 외로움 인구’는 약 150만명으로 추산됐다.
국가데이터처는 지난 1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회조사는 10개 부문을 2년 주기로 매년 5개 부문씩 조사하며 올해는 복지·사회참여·여가·소득과 소비·노동 부문이 포함됐다. 조사는 5월 14일부터 29일까지 실시됐다.
올해 조사에서는 처음으로 ‘외로움’ 관련 항목이 포함됐다. 13세 이상 국민 중 평소 외롭다고 응답한 비율은 38.2%에 달했다. 이 가운데 ‘자주 외롭다’는 4.7%, ‘가끔 외롭다’는 33.5%였다. 반면 ‘별로 외롭지 않다(43.5%)’와 ‘전혀 외롭지 않다(18.3%)’ 등 외롭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61.8%였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외로움을 느끼는 비중이 높았다. 50대 이상에서는 40%를 넘었고, 65세 이상은 43.4%로 나타났다. 특정 상황에서 도움받을 수 있는 사람도 없고, 평소 교류하는 사람도 없다고 응답한(사회적 관계망 없음) 비중은 전체의 5.8%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과 관련해서는, 특정 상황에서 도움을 받을 사람도 없고 평소 교류하는 사람도 없다고 답한 비율이 전체의 5.8%였다. 특히 사회적 관계망이 없고 외롭다고 응답한 ‘중복 고립군’은 3.3%, ‘자주 외롭다’고 응답한 사람은 0.9%로 나타났다. 65세 이상에서는 이 비율이 4.5%로 높아졌다.
이른바 '은둔형 외톨이'의 규모도 처음 확인됐다. 일주일에 한 번 미만으로 외출하거나 거의 외출하지 않는 사람은 전체의 2.7%였다. 그 이유로는 장애 또는 건강상의 어려움이 68.8%로 가장 높고, 경제활동의 어려움(11.1%), 대인관계의 어려움(7.2%) 순이었다.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고립·은둔 연구자들의 요청으로 이번에 외로움 조사 항목을 신설했다"며 "사회적 관계망이 없으며 외로움 인구는 추산할 때 150만명가량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조사를 통해 고립이나 은둔 상태에 가까운 국민 규모가 처음 확인됐다”며 “맞춤형 정책이 필요한 대상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외로움이 단순한 감정 문제가 아니라 정신건강과 뇌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한다. 청소년기에 외로움을 경험한 사람은 노년기 치매 위험이 40%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성인기의 외로움 또한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적 유대감은 정신 건강을 지키고 인지 저하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자원봉사, 언어 학습 등 새로운 활동을 통해 타인과 소통하고 뇌를 자극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청소년기에도 사회적 접촉 기회 확대, 학교·지역사회 지원 환경 조성, 외로움에 대한 정신건강 서비스 등이 효과적 전략이 될 수 있다.
국가데이터처는 지난 1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회조사는 10개 부문을 2년 주기로 매년 5개 부문씩 조사하며 올해는 복지·사회참여·여가·소득과 소비·노동 부문이 포함됐다. 조사는 5월 14일부터 29일까지 실시됐다.
올해 조사에서는 처음으로 ‘외로움’ 관련 항목이 포함됐다. 13세 이상 국민 중 평소 외롭다고 응답한 비율은 38.2%에 달했다. 이 가운데 ‘자주 외롭다’는 4.7%, ‘가끔 외롭다’는 33.5%였다. 반면 ‘별로 외롭지 않다(43.5%)’와 ‘전혀 외롭지 않다(18.3%)’ 등 외롭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61.8%였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외로움을 느끼는 비중이 높았다. 50대 이상에서는 40%를 넘었고, 65세 이상은 43.4%로 나타났다. 특정 상황에서 도움받을 수 있는 사람도 없고, 평소 교류하는 사람도 없다고 응답한(사회적 관계망 없음) 비중은 전체의 5.8%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과 관련해서는, 특정 상황에서 도움을 받을 사람도 없고 평소 교류하는 사람도 없다고 답한 비율이 전체의 5.8%였다. 특히 사회적 관계망이 없고 외롭다고 응답한 ‘중복 고립군’은 3.3%, ‘자주 외롭다’고 응답한 사람은 0.9%로 나타났다. 65세 이상에서는 이 비율이 4.5%로 높아졌다.
이른바 '은둔형 외톨이'의 규모도 처음 확인됐다. 일주일에 한 번 미만으로 외출하거나 거의 외출하지 않는 사람은 전체의 2.7%였다. 그 이유로는 장애 또는 건강상의 어려움이 68.8%로 가장 높고, 경제활동의 어려움(11.1%), 대인관계의 어려움(7.2%) 순이었다.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고립·은둔 연구자들의 요청으로 이번에 외로움 조사 항목을 신설했다"며 "사회적 관계망이 없으며 외로움 인구는 추산할 때 150만명가량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조사를 통해 고립이나 은둔 상태에 가까운 국민 규모가 처음 확인됐다”며 “맞춤형 정책이 필요한 대상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외로움이 단순한 감정 문제가 아니라 정신건강과 뇌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한다. 청소년기에 외로움을 경험한 사람은 노년기 치매 위험이 40%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성인기의 외로움 또한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적 유대감은 정신 건강을 지키고 인지 저하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자원봉사, 언어 학습 등 새로운 활동을 통해 타인과 소통하고 뇌를 자극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청소년기에도 사회적 접촉 기회 확대, 학교·지역사회 지원 환경 조성, 외로움에 대한 정신건강 서비스 등이 효과적 전략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