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유무에 따라 부모의 건강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베이징대, 충칭의대, 미국 옥스퍼드대 공동 연구팀은 중국인 51만2413명의 바이오뱅크 데이터를 통해 자녀 유무와 질병 발병 위험 사이 연관성을 알아봤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의료보험 기록과 병원 이용 기록을 최대 14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남녀 모두 출산 이후 다양한 질병 위험이 줄어들었다. 남성은 자녀가 있을 때보다 자녀가 없을 때 치매 위험이 170% 높아졌고, 정신·행동장애 위험이 56%, 만성폐쇄성폐질환이 56%, 기관지염이 43%, 각종 심혈관질환 위험이 10% 가량 높아졌다. 여성 역시 자녀가 있을 때에 비해 자녀가 없을 때 정신·행동장애 위험이 34% 높아졌고, 뇌내출혈 위험이 28%, 혀혈성 뇌졸중 위험이 11% 높아졌다.
다만 남녀 모두 자녀가 많을수록 건강한 것은 아니었다. 남성은 자녀가 4명 이상일 때부터 만성폐쇄성폐질환 위험이 오히려 13% 증가했고, 여성 역시 자녀가 4명 이상일 때부터 폐질환과 담낭염 위험이 각각 4%씩 높아졌다. 사망 위험이나 질병 발생 위험 등을 고려했을 때 3~4명의 자녀를 둔 부모가 가장 건강한 사례가 많았지만, 질환별로 최적점이 다르고 개인의 가족력이나 건강 특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뚜렷한 정답은 없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남성은 아버지의 역할을 시작하면 흡연 등 위험 행동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고, 여성은 임신이나 수유를 하며 에스트로겐 노출이 많아지면서 유방암 위험 감소로 이어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Chinese Medical Journal’에 최근 게재됐다.
중국 베이징대, 충칭의대, 미국 옥스퍼드대 공동 연구팀은 중국인 51만2413명의 바이오뱅크 데이터를 통해 자녀 유무와 질병 발병 위험 사이 연관성을 알아봤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의료보험 기록과 병원 이용 기록을 최대 14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남녀 모두 출산 이후 다양한 질병 위험이 줄어들었다. 남성은 자녀가 있을 때보다 자녀가 없을 때 치매 위험이 170% 높아졌고, 정신·행동장애 위험이 56%, 만성폐쇄성폐질환이 56%, 기관지염이 43%, 각종 심혈관질환 위험이 10% 가량 높아졌다. 여성 역시 자녀가 있을 때에 비해 자녀가 없을 때 정신·행동장애 위험이 34% 높아졌고, 뇌내출혈 위험이 28%, 혀혈성 뇌졸중 위험이 11% 높아졌다.
다만 남녀 모두 자녀가 많을수록 건강한 것은 아니었다. 남성은 자녀가 4명 이상일 때부터 만성폐쇄성폐질환 위험이 오히려 13% 증가했고, 여성 역시 자녀가 4명 이상일 때부터 폐질환과 담낭염 위험이 각각 4%씩 높아졌다. 사망 위험이나 질병 발생 위험 등을 고려했을 때 3~4명의 자녀를 둔 부모가 가장 건강한 사례가 많았지만, 질환별로 최적점이 다르고 개인의 가족력이나 건강 특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뚜렷한 정답은 없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남성은 아버지의 역할을 시작하면 흡연 등 위험 행동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고, 여성은 임신이나 수유를 하며 에스트로겐 노출이 많아지면서 유방암 위험 감소로 이어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Chinese Medical Journal’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