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은 2년 연속으로 미국비만학회에 참가해 체중 감량과 근육 증가를 동시에 실현하는 '신개념 비만 치료제' 관련 연구 성과를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신개념 비만 치료제 'LA-UCN2'·'HM17321'과 삼중 작용제 'HM15275' 등 2개 비만 신약에 대한 4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HM17321은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제제 등 인크레틴 계열 약제와 달리 비인크레틴 계열 약물로,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구조 모델링 플랫폼 'HARP'를 활용해 설계했다. 이달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아 임상 개발 단계에 돌입했다.
이번 학회에서 발표한 HM17321 관련 전임상 연구 3건에 따르면, HM17321은 근육량 증가와 함께 운동 효율, 혈당·에너지 대사 개선 등 근육 기능 전반을 개선했다. 식이유도 비만 동물 모델에 HM17321 투약 시 근육 내 mTOR(라파마이신 표적 단백질) 경로 활성화를 통해 근 성장을 촉진하고, 지방 분해 유도·지방 합성 억제를 통해 지방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발표했다. 체성분 변화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 개선 등 대사적 기능 향상 효과도 관찰됐다.
다른 발표에서는 HM17321과 위고비의 주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를 각각 투여한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동물 모델에서 체성분 변화 양상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결과를 공개했다. HM17321 투여군은 세마글루타이드 대비 지방 감소 폭이 크고 근육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했다. 지속 투여할 경우 혈당 조절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중작용제 HM15275는 인크레틴 계열 약물로, GLP-1과 위 억제 펩타이드(GIP), 글루카곤(GCG) 각각의 수용체에 모두 작용한다. 현재 임상 2상 단계에 진입해 있다. 이번 학회에서는 약물의 안전성, 내약성 등 항목을 확인한 임상 1상 시험의 추가적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한미약품 최인영 R&D센터장은 "전 세계 비만 환자들의 삶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건강한 체중 감량’을 실현하는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HM17321은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제제 등 인크레틴 계열 약제와 달리 비인크레틴 계열 약물로,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구조 모델링 플랫폼 'HARP'를 활용해 설계했다. 이달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아 임상 개발 단계에 돌입했다.
이번 학회에서 발표한 HM17321 관련 전임상 연구 3건에 따르면, HM17321은 근육량 증가와 함께 운동 효율, 혈당·에너지 대사 개선 등 근육 기능 전반을 개선했다. 식이유도 비만 동물 모델에 HM17321 투약 시 근육 내 mTOR(라파마이신 표적 단백질) 경로 활성화를 통해 근 성장을 촉진하고, 지방 분해 유도·지방 합성 억제를 통해 지방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발표했다. 체성분 변화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 개선 등 대사적 기능 향상 효과도 관찰됐다.
다른 발표에서는 HM17321과 위고비의 주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를 각각 투여한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동물 모델에서 체성분 변화 양상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결과를 공개했다. HM17321 투여군은 세마글루타이드 대비 지방 감소 폭이 크고 근육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했다. 지속 투여할 경우 혈당 조절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중작용제 HM15275는 인크레틴 계열 약물로, GLP-1과 위 억제 펩타이드(GIP), 글루카곤(GCG) 각각의 수용체에 모두 작용한다. 현재 임상 2상 단계에 진입해 있다. 이번 학회에서는 약물의 안전성, 내약성 등 항목을 확인한 임상 1상 시험의 추가적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한미약품 최인영 R&D센터장은 "전 세계 비만 환자들의 삶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건강한 체중 감량’을 실현하는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