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커피가 심장 건강에 나쁘다는 통념과 달리 심방세동 환자에게 안전할 뿐더러 오히려 심방세동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심방세동은 심방이 불규칙하게 뛰면서 혈류가 원활히 흐르지 못하는 질환으로 두근거림, 피로, 어지럼증 등을 유발한다. 장기적으로는 뇌졸중이나 심부전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사망 위험이 일반인보다 최대 4배 높다고 알려져 있다.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심장 리듬 장애로 유병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평생 최대 3명 중 1명이 발병 위험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그레고리 M. 마커스 교수팀은 심방세동이 있거나 병력이 있는 커피 섭취자 평균  69세  200명을 대상으로 '커피를 끊으면 심방세동을 피할 수 있을까'라는 무작위 임상시험을 미국·캐나다·호주 내 5개 병원에서 6개월간 진행했다. 모든 참가자는 전기적 심율동전환(심장 리듬 교정) 치료를 받은 환자였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카페인 커피 섭취군(100명)과 커피 및 카페인 완전 금지군(100명)으로 무작위 배정하고 6개월간 추적 관찰했다. 섭취군에는 하루 최소 한 잔의 카페인 커피를 마시도록 했고, 금지군에는 카페인뿐 아니라 디카페인 커피와 기타 카페인 음료도 섭취를 제한했다. 추적 기간에 커피 섭취군의 주당 평균 커피 섭취량은 7잔, 금지군은 0잔으로 두 그룹 간 주당 섭취량 차이는 7잔이었다.


연구 결과, 6개월 후 심방세동 또는 심방조동 재발률은 커피 섭취군 47%, 금지군 64%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는 커피를 마신 그룹이 재발 위험이 약 39% 낮았다. 단순 심방세동 재발만 따로 보더라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부작용 발생률은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커피의 항염 효과 외에도 커피 섭취로 건강에 해로운 다른 음료 섭취가 줄어든 점이 위험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 저자 크리스토퍼 웡 박사는 “의사들은 그동안 심방세동 환자에게 커피 섭취를 줄이라고 조언해 왔지만 이 연구는 커피가 단지 안전할 뿐 아니라 오히려 보호 효과가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미국의사협회저널(JAMA)’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