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1993년 4월 23일 파리에서 제임스 D. 왓슨 박사가 칠판 앞에서 자신의 연구를 설명하고 있다./사진=AFP 연합뉴스
유전자가 담긴 DNA(디옥시리보핵산)가 이중 나선 구조라는 사실을 밝혀낸 제임스 D. 왓슨 박사가 97세의 나이로 지난 6일(현지 시각) 별세했다.

워싱턴포스트 등 현지 언론은 7일 왓슨 박사가 미국 뉴욕 이스트 노스포트의 한 호스피스 시설에서 사망했다고 밝혔다. 왓슨 박사는 지난 2018년 교통사고로 크게 다친 후 요양 중이었다. 정확한 사인은 유족 측에서 공개하지 않았다.

왓슨은 지난 1962년 영국 과학자 프랜시스 크릭(1916~2004), 모리스 윌킨스(1916~2004)와 함께 DNA 구조를 규명한 공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당시 DNA가 유전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밝혀졌지만, 어떻게 생겼고 어떤 방법으로 유전 정보를 저장·전달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다.

1928년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난 왓슨은 이미 15세에 장학금을 받고 시카고대에 입학할 정도로 영민한 인재였다. 1950년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영국으로 건너가 케임브리지대에서 크릭 박사와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크릭과 왓슨은 킹스칼리지런던의 로절린드 프랭클린이 찍은 X선 사진을 보고 DNA 구조가 두 가닥이 꼬인 3차원 이중나선 구조라는 사실을 추론해 냈다. 1953년 4월 25일, 왓슨의 나이 25세 때 네이처에 DNA 구조를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후 생명과학 분야의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DNA 구조에 대한 비밀이 풀리면서, 세포가 단백질을 합성하는 방식,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 돌연변이 등이 밝혀졌다.

이후 왓슨은 1968년 지금까지도 널리 활용되는 생물학 교과서인 '유전자 분자생물학'을 펴냈고, 1990년 인간의 DNA를 이루는 30억 개의 염기쌍을 모두 해독하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다만, 이런 엄청난 업적에도 그는 과학계에서 퇴출당했다. 인종·여성 차별적 언행 때문. 2007년 왓슨은 영국 선데이탐스 인터뷰에서 "모든 사회 정책은 흑인과 백인이 동등한 지적 능력을 갖췄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지만, 모든 실험 결과 이는 사실이 아니다"며 "흑인 직원을 다뤄본 사람들은 그게 진실이 아니란 걸 안다"고 말해 거센 비판을 받았다. 2019년 한 다큐멘터리에서도 같은 입장을 보여, 이전에 속했던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에서 명예직을 박탈당했다.

여성차별적 발언도 도마 위에 올랐다. DNA 구조를 밝히는데 핵심이 된 엑스선 사진을 찍은 여성 과학자 프랭클린을 대상으로 왓슨은 외모 품평을 서슴지 않았다. 그는 "프랭클린이 립스틱을 바르지 않고 여성적인 옷차림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왓슨은 다른 여성 과학자들을 깎아내리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프랭클린은 1958년에 난소암으로 세상을 떠나, 노벨상 수상자에 오르지 못했다.



이미지
로절린드 프랭클린​ 박사가 찍은 X선 회절 사진으로,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내는 데 결정적인 증거가 됐다./사진=Nature
결국 명예가 추락하며, 강연과 출판 기념회가 취소되는 등 과학계에서 퇴출당하는 수순을 밟았다. 2014년 그는 노벨상 메달을 경매에 내놓기도 했다. 그는 "가족과 연구 지원에 쓰겠다"고 밝혔지만, 과학계 일각에서는 "학계에서 고립된 노벨상 수상자의 반항적 제스처"로 해석했다. 이 메달은 러시아 재벌이 410만 달러(약 55억 원)에 낙찰받은 뒤, 다시 왓슨에게 돌려줬다.


BBC는 왓슨을 "생명의 비밀을 밝혀낸 DNA 대부이자, 종종 실언했던 세계적 논란의 인물로 기억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