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3잔 이상 술을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평균 11년 일찍 뇌출혈을 겪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버드대 의대와 매사추세츠종합병원 공동 연구팀은 2003~2019년 해당 병원에 입원한 성인 1600명(평균 75세)의 의무기록과 뇌 영상 자료를 분석해 음주 습관과 뇌출혈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하루 3잔 이상 술을 마시는 사람을 과음자로 분류했다. 한 잔은 알코올 14g으로, 맥주 355mL·와인 150mL·증류주 45mL에 해당한다. 이후 연구팀은 CT(컴퓨터단층촬영)와 MRI(자기공명영상)를 통해 뇌출혈의 크기와 위치, 뇌실(뇌 속 공간)으로 퍼진 정도를 측정하고, 혈압·혈소판 수치 등과 함께 분석했다.
그 결과, 과음자는 평균 64세에 뇌출혈이 발생해 비과음자(75세)보다 11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출혈 크기는 평균 70% 더 컸고, 뇌 깊은 부위에서 출혈이 생길 확률도 두 배 높았다. 뇌출혈이 뇌실로 번질 위험도 거의 두 배였다.
MRI 분석에서는 과음자가 백질 손상을 보일 가능성이 3배 높았다. 백질은 신경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로, 손상되면 기억력 저하나 보행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과음자는 병원 도착 시 혈소판 수가 낮고 혈압이 높았으며, 고혈압 등으로 뇌의 미세혈관이 약해진 상태를 보였다.
연구팀의 추가 분석 결과, 과음 뿐만이 아니라 하루 2잔 수준의 음주 역시 뇌출혈 발병 시기를 앞당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주 3잔 이하 음주’가 뇌혈관 건강을 지키는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연구책임자인 하버드대 에딥 구롤 교수는 “과음은 뇌출혈을 앞당기고, 뇌혈관 노화를 가속한다”며 “술을 줄이거나 끊는 것이 뇌졸중과 인지 저하, 장기 장애를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다만 단면적 분석으로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적하지 못했고, 음주량을 자가보고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단일 병원 자료로 백인 비중이 높았다는 한계가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신경학회 공식 학술지 ‘뉴롤로지(Neurology)’에 지난 5일 게재됐다.
하버드대 의대와 매사추세츠종합병원 공동 연구팀은 2003~2019년 해당 병원에 입원한 성인 1600명(평균 75세)의 의무기록과 뇌 영상 자료를 분석해 음주 습관과 뇌출혈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하루 3잔 이상 술을 마시는 사람을 과음자로 분류했다. 한 잔은 알코올 14g으로, 맥주 355mL·와인 150mL·증류주 45mL에 해당한다. 이후 연구팀은 CT(컴퓨터단층촬영)와 MRI(자기공명영상)를 통해 뇌출혈의 크기와 위치, 뇌실(뇌 속 공간)으로 퍼진 정도를 측정하고, 혈압·혈소판 수치 등과 함께 분석했다.
그 결과, 과음자는 평균 64세에 뇌출혈이 발생해 비과음자(75세)보다 11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출혈 크기는 평균 70% 더 컸고, 뇌 깊은 부위에서 출혈이 생길 확률도 두 배 높았다. 뇌출혈이 뇌실로 번질 위험도 거의 두 배였다.
MRI 분석에서는 과음자가 백질 손상을 보일 가능성이 3배 높았다. 백질은 신경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로, 손상되면 기억력 저하나 보행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과음자는 병원 도착 시 혈소판 수가 낮고 혈압이 높았으며, 고혈압 등으로 뇌의 미세혈관이 약해진 상태를 보였다.
연구팀의 추가 분석 결과, 과음 뿐만이 아니라 하루 2잔 수준의 음주 역시 뇌출혈 발병 시기를 앞당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주 3잔 이하 음주’가 뇌혈관 건강을 지키는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연구책임자인 하버드대 에딥 구롤 교수는 “과음은 뇌출혈을 앞당기고, 뇌혈관 노화를 가속한다”며 “술을 줄이거나 끊는 것이 뇌졸중과 인지 저하, 장기 장애를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다만 단면적 분석으로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적하지 못했고, 음주량을 자가보고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단일 병원 자료로 백인 비중이 높았다는 한계가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신경학회 공식 학술지 ‘뉴롤로지(Neurology)’에 지난 5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