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소비기한이 지난 페트병 생수를 마시면 미세플라스틱 노출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소비기한이 지난 페트병 생수를 마시면 미세플라스틱 노출로 인한 암, 심혈관질환, 생식 문제 위험이 높아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물 자체가 상하는 것은 아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플라스틱 용기가 분해돼 미세플라스틱이 물에 섞일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분석이다.

페트병 생수의 권장 소비기한은 18개월에서 2년으로, 물 품질이 아닌 플라스틱 병의 품질 안전성을 기준으로 한 기한이다.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의 전문가들에 따르면, 페트병 생수 생산 단계에서부터 미세플라스틱이 물속에 섞일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용기 플라스틱이 분해되면서 입자수가 늘어난다.

미세플라스틱은 약 2㎛(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극미세 입자로 크기가 작아 체내로 유입되기 쉽다. 최근 연구에서도 폐 조직, 태반, 모유, 혈액 등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는 등 인체 축적 가능성이 확인됐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서도 일부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혈류를 타고 주요 장기에 축적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최근 발표된 캐나다 콩코디아대 연구에 따르면, 정기적으로 페트병 생수를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연간 약 90만 개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 입자를 섭취한다. 연구를 주도한 사라 사제디 박사는 “생수병을 통해 흡입된 미세플라스틱은 장내 미생물 불균형을 일으켜 체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일부 암 위험 증가, ADHD나 자폐증 위험, 정자 수 감소 등과도 연관된다”고 말했다.

한편, 페트병 생수는 보관에도 유의해야 한다. 햇빛이 드는 고온의 장소에 병을 방치하면 용기를 만드는 소재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빛에 노출되면서 빠르게 분해되고 물이 오염된다. 화학물질이나 강한 냄새가 나는 물질 옆에 보관하는 것도 피하는 게 좋다. 페트병은 소재 특성상 통기성이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물이 조금씩 증발하면서 그 틈으로 공기 중 오염물질이나 냄새 입자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