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바다의 우유’라고 불리는 굴의 계절이 돌아왔다.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바다의 우유’라고 불리는 굴의 계절이 돌아왔다. 찬바람이 부는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가 가장 맛있고 영양이 풍부한 제철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권에서는 굴을 먹으면 피부가 고와진다는 속설이 있을 만큼 굴은 겨울을 대표하는 보양 식품으로 꼽힌다. 특히 “배 타는 어부의 딸은 얼굴이 까맣고, 굴 따는 어부의 딸은 하얗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풍부한 영양과 독특한 풍미 덕분에 최고의 해산물로 여겨진다.

서양에서도 굴은 사랑받는 식재료다. 고대 로마 황제들이 영양식으로 즐겼고, 프랑스의 나폴레옹은 전쟁터에서도 매 끼니 굴을 챙겨 먹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그렇다면 딱 이 시기에 먹기 좋은 굴에는 어떤 영양 성분이 들어 있을까?

◇남녀노소 모두에게 좋은 식품
굴은 아연, 철분, 칼슘, 마그네슘, 셀레늄 등 무기질이 풍부하다. 특히 아연은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촉진해 정자 생성과 활동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칼슘은 성장기 아동의 뼈 발육을 돕고 성인에게는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을 준다. 이뿐만 아니라 굴에는 마그네슘과 비타민E가 많이 들어 있어 여성의 생리 불순 개선과 불임 예방에 효과적이다. 철분 흡수를 돕는 구리 성분도 다량 함유돼 있어 여성의 빈혈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굴은 단백질과 아미노산 함량이 높아 소고기나 우유보다도 뛰어난 영양식으로 꼽힌다. 두뇌 발달과 심장 건강에 이로운 타우린도 풍부하며, 100g당 83~97kcal로 열량이 낮고 지방이 적어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적합하다. 여기에 다양한 항산화 성분까지 함유돼 있어 피부 노화 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노로바이러스, 기생충 감염 주의
주의해야 할 점도 있다. 굴은 신선도와 관계없이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참굴큰입흡충 등 디스토마류 기생충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충분히 익혀 먹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다만 생굴을 먹어야 한다면 반드시 ‘생식용’이라고 표시된, 안전하게 유통·관리된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주된 전파 경로는 오염된 음식 섭취 또는 감염자와의 접촉으로,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음식물 완전 가열 등의 기본적인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감염이 의심되면 병원 진료를 받고, 탈수 예방을 위해 수분 섭취에 신경을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