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박성택 교수 연구팀. 왼쪽부터 박성택, 조혜연, 정수영 교수./사진=한림대의료원 제공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 여성에게서 네 번째로 흔한 암이다. 조기 진단 시 5년 생존율이 90%를 넘지만 진행된 단계에서는 20% 미만으로 급격히 떨어진다. 특히 재발성·전이성 환자의 치료 선택지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절실하다.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산부인과 박성택 교수 연구팀(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산부인과 조혜연 교수·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산부인과 정수영 교수)이 자궁경부암을 표적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면역치료제 개발에 성공했다. 면역세포가 직접 암세포를 인식하고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이중특이성 항체 플랫폼’(BiTE)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항암 치료법을 제시한 것이다.

BiTE는 종양세포를 직접 공격하도록 면역세포를 유도하는 항체로, 혈액암 분야에서 성공을 거두며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최근 자궁경부암 치료제로 승인된 항체·약물 접합체 ‘티소투맙 베도틴(tisotumab vedotin)’과 동일한 표적인 조직인자(TF)를 이중특이성 항체 기반 플랫폼을 통해 새롭게 표적화했다. 

연구팀은 자궁경부암 세포에서 TF를 표적하는 이중특이성 T세포 결합체 TF-BiTE를 개발했다. TF-BiTE는 T세포를 자궁경부암 세포에 직접 연결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효율적으로 공격하도록 유도한다.

분석 결과, TF는 자궁경부암 환자 조직에서 매우 높은 비율로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편평세포암의 86.3%, 선암의 85.2%에서 TF가 발현됐으며, 정상 자궁경부 조직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TF를 표적으로 한 TF-BiTE를 자궁경부암 세포주(ME-180)에 처리한 결과,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면역세포 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세포가 파괴되는 비율도 모든 암세포주에서 유의하게 증가했다. 반면 TF가 없는 정상 세포나 대조군 세포(CT-26)에서는 세포사멸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함께 TF-BiTE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T세포 활성화 지표(CD25, CD69)가 크게 증가했고,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TNF-α, IFN-γ, IL-2)의 분비량도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또한 T세포 탈과립 분석 결과, CD4·CD8 T세포 모두에서 세포살상 반응이 유의하게 유도돼 TF-BiTE가 강력한 면역 매개 항암 효과를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결과는 TF-BiTE가 자궁경부암 세포의 TF를 인식해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고, T세포가 암세포를 직접 사멸시키는 새로운 면역 작용 기전을 입증한 것이다. 특히 TF 발현이 높은 자궁경부 선암 아형에서도 뚜렷한 세포사멸 효과가 확인되어, 기존 치료가 제한적이던 선암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연구팀은 향후 면역관문억제제와의 병용 가능성 등 임상 적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박성택 교수는 “재발성·전이성 자궁경부암은 치료 선택지가 제한적”이라며 “이번 연구는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재발한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 중요한 전환점”이라 말했다.

이번 연구는 바이오벤처기업 이온셀과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이온셀 김형수 대표(한림대강남성심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향후 자궁경부암을 넘어 난소암, 폐암 등 고형암으로 적용 범위를 확장해 환자 맞춤형 정밀면역치료제 상용화를 앞당기고, BiTE 신약 개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국제분자과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