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장년층 사이에서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걷다 보면 종아리가 저리고 당기면서 아픈데, 앉아서 쉬면 괜찮아진다"는 호소가 많다. 이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인 척추관협착증의 신호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주된 원인은 노화다. 60세 이상이라면 거의 대부분 척추관이 좁아져 있는 상태이며, 나이에 따라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압박되면서 요통과 하지 방사통(다리 저림)이 동반된다. 특히 걸을 때 다리 통증이 심해지고, 앉거나 허리를 구부리면 증상이 완화되는 '신경성 파행'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장을 보거나 산책할 때 자꾸 쉬어야 하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초기에는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로 호전이 가능하지만, 신경 압박이 심해지면 근력 저하나 보행 장애로 진행할 수 있다. 특히 근육이 위축되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척추관협착증 진단에는 X-ray, MRI, CT 등이 활용된다. 과거에는 척수조영술을 사용했지만, 합병증 부담이 커서 현재는 MRI가 가장 정확한 진단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X-ray 검사를 기반으로 척추 구조 이상을 확인하고, MRI나 CT를 통해 신경 압박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요추척추관협착증은 증상이 심하다고 해서 무조건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진통소염제, 근육이완제, 혈관확장제 등의 약물치료, 온찜질·초음파·전기자극 등의 물리치료, 신경관 주변에 소염제·마취제를 주입하는 주사치료를 병행하면 상당수의 환자가 증상 완화를 경험한다.
협착된 신경관 자체가 다시 넓어지기는 어렵지만, 통증 조절과 일상생활 복귀를 목표로 한 치료가 핵심이다. 다만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에도 반응이 없거나 근력 저하가 진행되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는 근육 손상을 최소화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4~5cm 정도 절개 후 근육을 박리해야 했지만, 내시경을 이용하면 절개 범위를 1cm 내외로 작게 하고 근육 손상을 줄일 수 있다. 회복이 빠르고 출혈도 적어 고령 환자나 만성질환자도 부담이 적은 수술법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증상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지만, 신경 압박 자체는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 적절한 시기에 최소침습 수술을 시행하면 신경 손상 진행을 막고 보행 기능 회복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 척추관협착증 유병률이 높은 이유 중 하나는 좌식생활 문화다. 양반다리나 무릎 꿇고 앉는 자세는 허리에 큰 부담을 준다. 가능하면 의자 생활로 바꾸는 것이 좋다. 또한 허리를 과도하게 구부리는 스트레칭은 오히려 척추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자세를 자주 바꾸는 것이 좋고, 50분 앉았다면 10분은 일어나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척추관협착증은 누구에게나 노화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지만,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수술 없이도 통증 조절과 일상 복귀가 가능하다.
(*이 칼럼은 새움병원 홍순우 원장의 기고입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주된 원인은 노화다. 60세 이상이라면 거의 대부분 척추관이 좁아져 있는 상태이며, 나이에 따라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압박되면서 요통과 하지 방사통(다리 저림)이 동반된다. 특히 걸을 때 다리 통증이 심해지고, 앉거나 허리를 구부리면 증상이 완화되는 '신경성 파행'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장을 보거나 산책할 때 자꾸 쉬어야 하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초기에는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로 호전이 가능하지만, 신경 압박이 심해지면 근력 저하나 보행 장애로 진행할 수 있다. 특히 근육이 위축되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척추관협착증 진단에는 X-ray, MRI, CT 등이 활용된다. 과거에는 척수조영술을 사용했지만, 합병증 부담이 커서 현재는 MRI가 가장 정확한 진단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X-ray 검사를 기반으로 척추 구조 이상을 확인하고, MRI나 CT를 통해 신경 압박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요추척추관협착증은 증상이 심하다고 해서 무조건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진통소염제, 근육이완제, 혈관확장제 등의 약물치료, 온찜질·초음파·전기자극 등의 물리치료, 신경관 주변에 소염제·마취제를 주입하는 주사치료를 병행하면 상당수의 환자가 증상 완화를 경험한다.
협착된 신경관 자체가 다시 넓어지기는 어렵지만, 통증 조절과 일상생활 복귀를 목표로 한 치료가 핵심이다. 다만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에도 반응이 없거나 근력 저하가 진행되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는 근육 손상을 최소화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4~5cm 정도 절개 후 근육을 박리해야 했지만, 내시경을 이용하면 절개 범위를 1cm 내외로 작게 하고 근육 손상을 줄일 수 있다. 회복이 빠르고 출혈도 적어 고령 환자나 만성질환자도 부담이 적은 수술법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증상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지만, 신경 압박 자체는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 적절한 시기에 최소침습 수술을 시행하면 신경 손상 진행을 막고 보행 기능 회복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 척추관협착증 유병률이 높은 이유 중 하나는 좌식생활 문화다. 양반다리나 무릎 꿇고 앉는 자세는 허리에 큰 부담을 준다. 가능하면 의자 생활로 바꾸는 것이 좋다. 또한 허리를 과도하게 구부리는 스트레칭은 오히려 척추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자세를 자주 바꾸는 것이 좋고, 50분 앉았다면 10분은 일어나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척추관협착증은 누구에게나 노화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지만,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수술 없이도 통증 조절과 일상 복귀가 가능하다.
(*이 칼럼은 새움병원 홍순우 원장의 기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