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늦게 먹는 게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앨라배마대 하산 다쉬티 박사팀은 과체중 또는 비만한 성인 3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식사 시간을 달리하는 교차 실험을 진행했다. 한 그룹은 일반적인 시간대에 저녁 식사를 마치도록 했고, 다른 그룹은 밤 10시 이후 멜라토닌 분비 수치가 높아지는 시점에 맞춰 늦은 저녁을 먹도록 했다. 두 그룹 모두 같은 식단과 열량을 섭취했으며, 이후 연구진은 참가자의 식후 혈당·인슐린 민감성·지방 대사 지표 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늦은 시간대에 식사한 그룹의 식후 혈당 스파이크가 정상 시간대에 식사한 그룹보다 평균 1.2배 높았다. 인슐린 반응은 약 1.2배 감소해 혈당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대사 측면에서도 저녁 식사 시간이 늦은 그룹은 지방산 산화율이 낮아져, 에너지를 태우기보다 지방을 축적하기 쉬운 대사 환경이 형성됐다. 이는 멜라토닌 분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멜라토닌 분비가 많아질수록 인슐린 분비와 작용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늦은 저녁에 식사하면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효과가 줄어들어 혈당 스파이크가 크게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체내 대사 과정이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일반적인 저녁 시간대에 식사를 마친 그룹에선 혈당 조절이 안정적이었다. 인슐린 민감성도 유지됐다. 지방 대사 역시 효율적으로 이뤄져 에너지 소비에 유리한 패턴을 보였다.
미국 앨라배마대 하산 다쉬티 박사팀은 과체중 또는 비만한 성인 3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식사 시간을 달리하는 교차 실험을 진행했다. 한 그룹은 일반적인 시간대에 저녁 식사를 마치도록 했고, 다른 그룹은 밤 10시 이후 멜라토닌 분비 수치가 높아지는 시점에 맞춰 늦은 저녁을 먹도록 했다. 두 그룹 모두 같은 식단과 열량을 섭취했으며, 이후 연구진은 참가자의 식후 혈당·인슐린 민감성·지방 대사 지표 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늦은 시간대에 식사한 그룹의 식후 혈당 스파이크가 정상 시간대에 식사한 그룹보다 평균 1.2배 높았다. 인슐린 반응은 약 1.2배 감소해 혈당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대사 측면에서도 저녁 식사 시간이 늦은 그룹은 지방산 산화율이 낮아져, 에너지를 태우기보다 지방을 축적하기 쉬운 대사 환경이 형성됐다. 이는 멜라토닌 분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멜라토닌 분비가 많아질수록 인슐린 분비와 작용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늦은 저녁에 식사하면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효과가 줄어들어 혈당 스파이크가 크게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체내 대사 과정이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일반적인 저녁 시간대에 식사를 마친 그룹에선 혈당 조절이 안정적이었다. 인슐린 민감성도 유지됐다. 지방 대사 역시 효율적으로 이뤄져 에너지 소비에 유리한 패턴을 보였다.
연구팀은 “과체중이나 비만한 사람은 저녁 식사 시간을 앞당기고 야식을 줄이는 전략이 혈당 조절과 지방 축적 예방에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 심장학회 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에 최근 게재됐다.
이 연구는 ‘미국 심장학회 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