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이 되면 뇌세포가 더는 생성되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이를 두고 ‘나이가 들면 뇌는 퇴화하는 것이 당연하다’라고 여기며, 머리 쓰기를 게을리하면 안 된다. 
최근 스웨덴 카롤린스카대 연구소가 노인을 비롯한 성인의 뇌 해마에서도 새로운 신경세포(뉴런)가 생겨남을 보여주는 증거를 찾았다.
연구팀은 0세 아이부터 78세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 사람들의 뇌 조직 샘플을 여러 국가의 바이오뱅크에서 얻어 연구에 활용했다. 각 뇌세포의 핵을 가지고 RNA 시퀀싱을 진행, 줄기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이 일어났는지 추적했다.
분석 결과, 아이는 뇌세포 성장이 활발하다는 상식을 증명하듯 어린아이의 뇌 조직들에서는 줄기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되는 전 과정이 모두 관찰됐다. 성인의 경우, 분화 증거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 성인도 있었으나 매우 활발한 것으로 확인된 성인도 분명 있었다.
성인의 뇌에서 뉴런이 새로 생긴 위치를 알아본 결과, 해마의 한 부분인 ‘치상회’라는 부분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곳은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고, 공간에 대해 학습하며 변화에 적응하는 데 관여하는 부위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인간 뇌가 생애 주기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며 “신경 발달과 정신 의학 장애 분야에서 신경 발생을 촉진하기 위한 치료제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게재됐다.
		
        
      최근 스웨덴 카롤린스카대 연구소가 노인을 비롯한 성인의 뇌 해마에서도 새로운 신경세포(뉴런)가 생겨남을 보여주는 증거를 찾았다.
연구팀은 0세 아이부터 78세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 사람들의 뇌 조직 샘플을 여러 국가의 바이오뱅크에서 얻어 연구에 활용했다. 각 뇌세포의 핵을 가지고 RNA 시퀀싱을 진행, 줄기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이 일어났는지 추적했다.
분석 결과, 아이는 뇌세포 성장이 활발하다는 상식을 증명하듯 어린아이의 뇌 조직들에서는 줄기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되는 전 과정이 모두 관찰됐다. 성인의 경우, 분화 증거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 성인도 있었으나 매우 활발한 것으로 확인된 성인도 분명 있었다.
성인의 뇌에서 뉴런이 새로 생긴 위치를 알아본 결과, 해마의 한 부분인 ‘치상회’라는 부분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곳은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고, 공간에 대해 학습하며 변화에 적응하는 데 관여하는 부위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인간 뇌가 생애 주기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며 “신경 발달과 정신 의학 장애 분야에서 신경 발생을 촉진하기 위한 치료제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