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암생존자통합지지실 소아청소년팀은 30일 국가암예방검진동에서 경기도교육청과 함께‘소아청소년암생존자의 학교복귀 지원을 위한 교사역량강화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국립암센터 암생존자통합지지실 소아청소년팀, 소아청소년암센터와 경기도교육청이 공동 주관했으며 경기도 내 건강장애학생 담당 및 관련 교원 300여 명이 참석했다.
소아청소년암생존자 통합지지 사업의 일환으로 2019년 처음 시작된 해당 워크숍은 올해로 6회를 맞았다. 워크숍에서는 소아청소년암의 특성과 학교복귀 지원에 대한 정보를 교육 현장에 전하며 특히 올해는 사전 조사를 통해 맞춤형 강의를 구성해 소아청소년암생존자의 안정적인 학교복귀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이해를 더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워크숍의 주요 프로그램은 ▲소아청소년암생존자 통합지지 사업 소개 및 소아청소년암의 이해 ▲소아청소년암생존자의 성공적인 학교복귀 ▲국립암센터 병원학교 운영의 실제 ▲소아청소년암 학생의 이해와 교사의 정서적 지원 등으로 구성됐다.
이날 워크숍에 참석한 교사들에게는 국립암센터 암생존자통합지지실 소아청소년팀에서 개발한 소아청소년암생존자 학교 복귀 관련 책자를 배포해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자료를 제공했다. 이와 함께 소아청소년암생존자 통합지지 사업을 소개하는 브로슈어도 함께 배포해 학교에서 필요한 경우 국립암센터와 추후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박현진 팀장(국립암센터 암생존자통합지지실 소아청소년)은 “최근 소아청소년암의 5년 생존율은 85% 정도로 치료 종결 후 생존자들이 사회 구성원으로 원활히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며 “성공적인 학교 복귀는 단순히 학업 지원을 넘어 취업·결혼 등 사회적 문제와도 연결돼 이번 워크숍이 교사들의 이해를 높이고 생존자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암센터는 소아청소년암생존자 통합지지 사업을 통해 소아청소년암생존자와 가족의 신체·정신적 건강증진과 학교 및 사회 복귀를 지원하고 있다. 여러 분야 전문가들이 암 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신체, 심리, 사회적 문제를 파악해 필요한 상담, 교육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시 다학제 클리닉과 지역사회 연계를 시행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국립암센터 암생존자통합지지실 소아청소년팀, 소아청소년암센터와 경기도교육청이 공동 주관했으며 경기도 내 건강장애학생 담당 및 관련 교원 300여 명이 참석했다.
소아청소년암생존자 통합지지 사업의 일환으로 2019년 처음 시작된 해당 워크숍은 올해로 6회를 맞았다. 워크숍에서는 소아청소년암의 특성과 학교복귀 지원에 대한 정보를 교육 현장에 전하며 특히 올해는 사전 조사를 통해 맞춤형 강의를 구성해 소아청소년암생존자의 안정적인 학교복귀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이해를 더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워크숍의 주요 프로그램은 ▲소아청소년암생존자 통합지지 사업 소개 및 소아청소년암의 이해 ▲소아청소년암생존자의 성공적인 학교복귀 ▲국립암센터 병원학교 운영의 실제 ▲소아청소년암 학생의 이해와 교사의 정서적 지원 등으로 구성됐다.
이날 워크숍에 참석한 교사들에게는 국립암센터 암생존자통합지지실 소아청소년팀에서 개발한 소아청소년암생존자 학교 복귀 관련 책자를 배포해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자료를 제공했다. 이와 함께 소아청소년암생존자 통합지지 사업을 소개하는 브로슈어도 함께 배포해 학교에서 필요한 경우 국립암센터와 추후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박현진 팀장(국립암센터 암생존자통합지지실 소아청소년)은 “최근 소아청소년암의 5년 생존율은 85% 정도로 치료 종결 후 생존자들이 사회 구성원으로 원활히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며 “성공적인 학교 복귀는 단순히 학업 지원을 넘어 취업·결혼 등 사회적 문제와도 연결돼 이번 워크숍이 교사들의 이해를 높이고 생존자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암센터는 소아청소년암생존자 통합지지 사업을 통해 소아청소년암생존자와 가족의 신체·정신적 건강증진과 학교 및 사회 복귀를 지원하고 있다. 여러 분야 전문가들이 암 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신체, 심리, 사회적 문제를 파악해 필요한 상담, 교육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시 다학제 클리닉과 지역사회 연계를 시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