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는 탄저백신 ‘배리트락스주’의 임상 2상 시험 결과가 국제 학술지 ‘백신’에 게재됐다고 3일 밝혔다.
배리트락스주는 ‘GC1109’라는 후보 물질명으로 개발한 백신이다. GC녹십자와 질병 관리청이 공동 개발한 세계 최초 유전자 재조합 탄저백신으로, 약독화된 균을 직접 사용하는 기존 방식보다 안전성이 높고, 신속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변 연구는 국내 5개 병원에서 건강한 성인 24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참가자를 1대 1로 무작위 배정해 배리트락스주 또는 위약을 투여하고 접종 후 항체 수준과 이상 반응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배리트락스주를 접종받은 사람은 탄저 독소를 중화하는 항체가 기준치 이상 형성돼 백신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실제 탄저균 감염 상황에서도 인체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는 뜻이다.
배리트락스주로 인한 이상 반응은 주사 부위 통증·근육통·피로·권태 등이었고 대부분 경미한 수준이거나 일시적이었다. 급성 이상이나 사망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
GC녹십자 정재욱 연구·개발부문장은 “이번 임상 결과를 통해 배리트락스주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며 국산 탄저백신을 통해 국가 방역 체계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
배리트락스주는 ‘GC1109’라는 후보 물질명으로 개발한 백신이다. GC녹십자와 질병 관리청이 공동 개발한 세계 최초 유전자 재조합 탄저백신으로, 약독화된 균을 직접 사용하는 기존 방식보다 안전성이 높고, 신속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변 연구는 국내 5개 병원에서 건강한 성인 24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참가자를 1대 1로 무작위 배정해 배리트락스주 또는 위약을 투여하고 접종 후 항체 수준과 이상 반응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배리트락스주를 접종받은 사람은 탄저 독소를 중화하는 항체가 기준치 이상 형성돼 백신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실제 탄저균 감염 상황에서도 인체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는 뜻이다.
배리트락스주로 인한 이상 반응은 주사 부위 통증·근육통·피로·권태 등이었고 대부분 경미한 수준이거나 일시적이었다. 급성 이상이나 사망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
GC녹십자 정재욱 연구·개발부문장은 “이번 임상 결과를 통해 배리트락스주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며 국산 탄저백신을 통해 국가 방역 체계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