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매출 14.3조원 기록

이미지
마운자로, 젭바운드/사진=일라이 릴리 제공
3년 가까이 전 세계 매출 1위 자리를 지켜왔던 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가 일라이 릴리의 당뇨병·비만 치료제 '마운자로'와 '젭바운드'에 선두 자리를 내줬다.

30일(현지시간) 일라이 릴리의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릴리의 글로벌 매출은 176억달러(한화 약 25조9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했다.

릴리는 1분기에 127억3000만달러(한화 약 18조14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후, 2분기에는 156억달러(한화 약 22조2300억원)까지 증가했다. 이러한 상승세에 힘입어 회사는 연간 매출 전망치를 630억~635억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매출 증가에 기여한 주요 제품에는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엡글리스' ▲혈액암 치료제 '제이퍼카' 유방암 치료제 '버제니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키썬라'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옴보' ▲당뇨병 치료제 '마운자로' ▲비만 치료제 '젭바운드'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크게 매출 성장을 이끈 품목은 마운자로와 젭바운드다.

마운자로와 젭바운드는 주성분이 '터제파타이드'로 동일하다. 터제파타이드는 GIP와 GLP-1(위 억제 펩타이드/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호르몬을 모방한 약물이다. 두 호르몬은 인슐린 분비 촉진하고 인슐린 민감도를 개선하며, 배고픔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인 글루카곤 분비를 줄여 식욕 조절·포만감 유지 효과를 유도한다.


미국과 일본에서 당뇨병 적응증은 마운자로로, 비만 적응증은 젭바운드로 따로 허가받아 각각 출시했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다른 국가에서는 마운자로가 비만 적응증까지 모두 장착해 단일 제품으로 출시했다. 이 때문에 글로벌 매출을 집계할 때 마운자로와 젭바운드의 합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운자로와 젭바운드의 3분기 글로벌 매출은 각각 65억1000만달러(한화 약 9조2800억원)·35억8000만달러(한화 약 5조1000억원)이며, 합산 매출은 총 100억9000만달러(한화 약 14조3800억원)를 기록했다. 미국에서의 합산 매출은 71억2000만달러(한화 약 10조1500억원)로, 젭바운드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84% 증가한 35억7000만달러(한화 약 5조900억원)를, 마운자로는 49% 증가한 35억5000만 달러(한화 약 5조600억원)를 기록했다.

이번 마운자로와 젭바운드의 합산 매출에서 주목할 점은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는 지난 2분기까지 전 세계 1위였던 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를 제친 점이다. 키트루다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81억달러(한화 약 11조5400억원)다.

두 번째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약가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크게 성장한 점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글로벌 제약사들에 GLP-1 계열 비만 치료제의 가격을 낮추도록 압박했고, 이에 따라 실제 약가를 인하한 바 있다.

일라이 릴리 데이비드 릭스 회장은 "당뇨병과 비만 치료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에 힘입어 강력한 분기 매출 증가를 달성했다"며 "미국 버지니아와 텍사스에 새로운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공장을 확장해 앞으로도 제조 능력을 지속적으로 늘리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