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수도권 사립대 의대 졸업생 절반은 수도권 병원에 취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비수도권 사립대 의대 18곳의 수도권 취업률은 50.7%로 집계됐다.
지방 사립 의대생의 수도권 취업 쏠림 현상은 매년 심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9년 45.0%였던 이들의 수도권 취업률은 2020년 45.5%, 2021년 47.0%, 2022년 50.2%로 꾸준히 증가했다.
2023년 기준 비수도권 사립 의대별 수도권 취업률을 보면 강원에 있는 한림대가 90.5%로 가장 높았다. 그해 한림대 의대 졸업생은 총 74명이었는데 이 중 67명이 수도권으로 향했다. 나머지 7명은 비수도권 병원에 취업했다. 이어 울산대(87.1%), 가톨릭관동대(75.9%), 순천향대(70.7%) 순으로 수도권 취업률이 높았다.
수도권 취업률이 가장 낮은 곳은 부산에 있는 동아대였다. 동아대는 의대 졸업생 36명 가운데 5명(13.9%)만 수도권 병원에 취업했다.
강경숙 의원은 “지방의대 설립 취지가 지역의료 인력 양성인데 현실에서는 수도권 쏠림이 심화하고 있다”며 “최근 관련 부처들이 지역 필수공공의료 강화 협의체를 구성한 만큼 이러한 실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의료계에서는 수도권·비수도권 의대 정원, 수도권·비수도권 병원의 인턴 선발인원 등 구조적 문제가 영향을 끼쳤다는 의견이 나온다. 비수도권 의대 입학 정원이 수도권의 2배지만 인턴 선발 규모는 똑같아서 졸업생들이 어쩔 수 없이 수도권으로 향한다는 것이다.
한편, 정부는 지역의 의료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사제 등의 방안을 검토하는 중이다.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필수·지역의료 확보는 중요한 국정과제”라며 “지역의사제, 공공의대, 의대 없는 지역의 의대 신설 등 3가지 방안을 동시에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31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비수도권 사립대 의대 18곳의 수도권 취업률은 50.7%로 집계됐다.
지방 사립 의대생의 수도권 취업 쏠림 현상은 매년 심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9년 45.0%였던 이들의 수도권 취업률은 2020년 45.5%, 2021년 47.0%, 2022년 50.2%로 꾸준히 증가했다.
2023년 기준 비수도권 사립 의대별 수도권 취업률을 보면 강원에 있는 한림대가 90.5%로 가장 높았다. 그해 한림대 의대 졸업생은 총 74명이었는데 이 중 67명이 수도권으로 향했다. 나머지 7명은 비수도권 병원에 취업했다. 이어 울산대(87.1%), 가톨릭관동대(75.9%), 순천향대(70.7%) 순으로 수도권 취업률이 높았다.
수도권 취업률이 가장 낮은 곳은 부산에 있는 동아대였다. 동아대는 의대 졸업생 36명 가운데 5명(13.9%)만 수도권 병원에 취업했다.
강경숙 의원은 “지방의대 설립 취지가 지역의료 인력 양성인데 현실에서는 수도권 쏠림이 심화하고 있다”며 “최근 관련 부처들이 지역 필수공공의료 강화 협의체를 구성한 만큼 이러한 실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의료계에서는 수도권·비수도권 의대 정원, 수도권·비수도권 병원의 인턴 선발인원 등 구조적 문제가 영향을 끼쳤다는 의견이 나온다. 비수도권 의대 입학 정원이 수도권의 2배지만 인턴 선발 규모는 똑같아서 졸업생들이 어쩔 수 없이 수도권으로 향한다는 것이다.
한편, 정부는 지역의 의료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의사제 등의 방안을 검토하는 중이다.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필수·지역의료 확보는 중요한 국정과제”라며 “지역의사제, 공공의대, 의대 없는 지역의 의대 신설 등 3가지 방안을 동시에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