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초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할수록 뇌 구조가 변해 과식으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맥길대 신경과학연구소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평균 64.5세 3만3654명을 대상으로 초가공식품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다. 참가자들은 식이조사, 혈액검사, 체성분 측정, 뇌 MRI(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통해 빵, 가공육, 과자, 탄산음료 등 초가공식품의 섭취 비율과 신체 및 뇌 건강 지표를 평가받았다. 전체 섭취 칼로리 중 초가공식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46.6%였다.

연구 결과, 초가공식품 섭취량이 많을수록 시상하부, 측좌핵, 편도체 등 식욕과 보상 관련 뇌 부위의 미세 구조가 변형됐다. 특히 시상하부에서는 염증 반응을 보여주는 세포 밀도 증가가, 측좌핵과 창백핵에서는 신경 퇴행 가능성을 시사하는 세포 감소 및 수분 증가가 관찰됐다.


C-반응성 단백질 수치가 높을수록 측좌핵의 구조 변화가 심했고, 좋은 콜레스테롤 저하와 고혈당도 뇌 구조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비만도는 일부 뇌 부위 변화에 미친 영향은 1.6~7.9%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변화는 비만과 무관하게 초가공식품 자체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초가공식품 섭취가 '더 많이 먹게 만드는 뇌 변화'를 일으켜 다시 가공식품을 찾게 되는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한 초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한 사람일수록 HDL 수치는 낮고, C-반응성 단백질·중성지방·혈당 수치는 높았다. 또한 체질량지수, 복부 내장지방량, 허리-엉덩이둘레 비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연구 저자 필립 모리스 박사는 “초가공식품은 단순한 영양 불균형의 문제가 아니라 뇌의 구조적 변화를 유발해 식습관을 스스로 조절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며 “체중 증가뿐 아니라 뇌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도 초가공식품 섭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자매지 ‘npj Metabolic Health and Disease’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