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마시고 구토로 속을 게워내는 사람이 있는 반면, 아무리 마셔도 구역감을 느끼거나 구토를 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 술이 잘 받는 체질이 따로 있는 걸까?
구토하지 않는다는 게 소화력이 좋다거나 술이 잘 받는 체질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소화기내과 이강문 교수는 “술을 아무리 마셔도 취하지 않고 구토도 없다면 간의 해독 속도가 빠른 경우겠지만 다른 사람처럼 숙취나 울렁거림은 있는데 구토만 없는 건 소화력과 별개”라고 말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이강문 교수는 “위에서 토사물이 올라와도 식도 입구가 잘 열리지 않는 생리적 요인에 의해 구토를 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심리적 억제 요인도 영향을 미친다. 이 교수는 “구토하는 상황 자체를 불쾌하게 여기거나 구토하는 상황이나 장소에서 ‘이러면 안 되지’라는 생각이 들면 근육이 수축돼 토사물이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음주 후 구토하지 않는다고 해서 술이 이미 다 해독됐다고 착각하는 것은 금물이다. 술은 위장을 지나 소장에서 흡수돼 간에서 분해된다. 이 과정에서 숙취와 구토의 원인 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생성되는데 몸이 이에 반응해 구역, 구토를 유발한다. 이때 구역이나 구토 증상이 없다고 해서 알코올 분해가 잘 되는 것은 아니다. 이강문 교수는 “음주 후 구역이나 구토를 하지 않아도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몸에 그대로 남아 간에 부담을 주고 숙취가 더 오래갈 수 있다”며 “몸이 지금 당장 편하다고 느껴도 해독 과정은 똑같기 때문에 술을 줄이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구토하지 않는다는 게 소화력이 좋다거나 술이 잘 받는 체질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소화기내과 이강문 교수는 “술을 아무리 마셔도 취하지 않고 구토도 없다면 간의 해독 속도가 빠른 경우겠지만 다른 사람처럼 숙취나 울렁거림은 있는데 구토만 없는 건 소화력과 별개”라고 말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이강문 교수는 “위에서 토사물이 올라와도 식도 입구가 잘 열리지 않는 생리적 요인에 의해 구토를 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심리적 억제 요인도 영향을 미친다. 이 교수는 “구토하는 상황 자체를 불쾌하게 여기거나 구토하는 상황이나 장소에서 ‘이러면 안 되지’라는 생각이 들면 근육이 수축돼 토사물이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음주 후 구토하지 않는다고 해서 술이 이미 다 해독됐다고 착각하는 것은 금물이다. 술은 위장을 지나 소장에서 흡수돼 간에서 분해된다. 이 과정에서 숙취와 구토의 원인 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생성되는데 몸이 이에 반응해 구역, 구토를 유발한다. 이때 구역이나 구토 증상이 없다고 해서 알코올 분해가 잘 되는 것은 아니다. 이강문 교수는 “음주 후 구역이나 구토를 하지 않아도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몸에 그대로 남아 간에 부담을 주고 숙취가 더 오래갈 수 있다”며 “몸이 지금 당장 편하다고 느껴도 해독 과정은 똑같기 때문에 술을 줄이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