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이 건강에 해롭다는 사실은 잘 알려졌지만, 단맛을 완전히 끊기란 쉽지 않다. 열량이 거의 없는 인공 감미료가 대안으로 떠올랐지만, 안전성 논란이 이어지자 최근에는 꿀·메이플시럽·아가베 시럽 등 자연에서 얻은 천연 감미료가 ‘더 건강한 선택’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렇다면 이런 천연 감미료는 실제로 설탕보다 몸에 더 좋을까?
전문가들은 “우리 몸은 당의 출처를 구분하지 못한다”고 입을 모았다. 브리검영대 영양학과 카렌 델라 코르테 교수는 미국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당이 꿀에서 오든, 설탕에서 오든, 아가베 시럽에서 오든 결국 포도당과 과당 같은 단위로 분해된다”고 말했다. 감미료가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든 인체는 이를 모두 같은 ‘당’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는 화학구조에 따라 동일하게 분해되기 때문이다.
모든 당이 몸에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 캠퍼스의 영양학자 킴버 스탠호프 박사는 미국 UC데이비스 뉴스룸과의 인터뷰에서 “사과 속 당과 초콜릿바 속 당은 분자적으로 같지만, 몸이 이를 처리하는 방식은 다르다”고 말했다. 이는 식이섬유의 존재 때문이다. 과일이나 채소를 통째로 먹으면 섬유질이 당의 흡수를 늦춰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것을 막는다. 반면 정제 설탕이나 시럽 형태의 당은 이런 완충 역할이 없어서 혈당이 빠르게 상승한다. 스탠호프 박사는 “당의 형태보다 함께 먹는 성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한다”고 말했다. 꿀 한 숟가락을 단독으로 먹는 것과 통째 과일에 들어 있는 당을 섭취하는 것은 전혀 다른 결과를 낳는다는 의미다. 다만 과일을 갈아 주스로 마시면 섬유질이 파괴돼 이러한 효과가 사라진다.
전문가들은 꿀, 메이플시럽, 아가베 시럽 역시 식품에 첨가될 경우 설탕과 같은 ‘첨가당’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탠호프 박사는 “혈당이 반복적으로 급등하면 세포가 인슐린에 둔감해지고, 결국 2형 당뇨병과 지방간, 심혈관질환 위험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 캠퍼스의 내분비학자 로버트 러스틱 박사도 미국 UCSF 뉴스룸과의 인터뷰에서 “과도한 당은 간에서 지방으로 전환돼 혈관에 쌓이고, 이로 인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위험이 커진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하루 첨가당을 50g 이하로, 미국심장협회(AHA)는 남성 36g·여성 25g 이하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또 인공 감미료 역시 장기적인 안전성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아스파탐·수크랄로스 같은 합성 감미료뿐 아니라, 스테비아·몽크후르츠 등 식물성 감미료 역시 신체와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단맛을 완전히 끊기 어렵다면, 자연식품에서 단맛을 얻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딸기·사과·고구마 등 본래 단맛이 나는 식품을 섭취하고, 부족하다면 꿀을 한두 방울 첨가하는 수준이 적절하다. 꿀에는 설탕과 달리 당을 제외하고라도 소량의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 물질 등 건강에 이로운 성분이 들어 있다. 초콜릿을 즐긴다면 설탕 함량이 낮은 다크초콜릿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전문가들은 “우리 몸은 당의 출처를 구분하지 못한다”고 입을 모았다. 브리검영대 영양학과 카렌 델라 코르테 교수는 미국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당이 꿀에서 오든, 설탕에서 오든, 아가베 시럽에서 오든 결국 포도당과 과당 같은 단위로 분해된다”고 말했다. 감미료가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든 인체는 이를 모두 같은 ‘당’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는 화학구조에 따라 동일하게 분해되기 때문이다.
모든 당이 몸에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 캠퍼스의 영양학자 킴버 스탠호프 박사는 미국 UC데이비스 뉴스룸과의 인터뷰에서 “사과 속 당과 초콜릿바 속 당은 분자적으로 같지만, 몸이 이를 처리하는 방식은 다르다”고 말했다. 이는 식이섬유의 존재 때문이다. 과일이나 채소를 통째로 먹으면 섬유질이 당의 흡수를 늦춰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것을 막는다. 반면 정제 설탕이나 시럽 형태의 당은 이런 완충 역할이 없어서 혈당이 빠르게 상승한다. 스탠호프 박사는 “당의 형태보다 함께 먹는 성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한다”고 말했다. 꿀 한 숟가락을 단독으로 먹는 것과 통째 과일에 들어 있는 당을 섭취하는 것은 전혀 다른 결과를 낳는다는 의미다. 다만 과일을 갈아 주스로 마시면 섬유질이 파괴돼 이러한 효과가 사라진다.
전문가들은 꿀, 메이플시럽, 아가베 시럽 역시 식품에 첨가될 경우 설탕과 같은 ‘첨가당’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탠호프 박사는 “혈당이 반복적으로 급등하면 세포가 인슐린에 둔감해지고, 결국 2형 당뇨병과 지방간, 심혈관질환 위험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 캠퍼스의 내분비학자 로버트 러스틱 박사도 미국 UCSF 뉴스룸과의 인터뷰에서 “과도한 당은 간에서 지방으로 전환돼 혈관에 쌓이고, 이로 인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위험이 커진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하루 첨가당을 50g 이하로, 미국심장협회(AHA)는 남성 36g·여성 25g 이하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또 인공 감미료 역시 장기적인 안전성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아스파탐·수크랄로스 같은 합성 감미료뿐 아니라, 스테비아·몽크후르츠 등 식물성 감미료 역시 신체와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단맛을 완전히 끊기 어렵다면, 자연식품에서 단맛을 얻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딸기·사과·고구마 등 본래 단맛이 나는 식품을 섭취하고, 부족하다면 꿀을 한두 방울 첨가하는 수준이 적절하다. 꿀에는 설탕과 달리 당을 제외하고라도 소량의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 물질 등 건강에 이로운 성분이 들어 있다. 초콜릿을 즐긴다면 설탕 함량이 낮은 다크초콜릿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