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가 각방에서 따로 자는 이른 바 ‘수면 이혼’이 심리적인 건강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행복감, 삶의 만족도, 성취도 등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다.
대만 타이베이 간호보건대 연구팀이 대만 북부에 거주하는 고령 부부 860쌍을 대상으로 수면 방식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설문조사를 통해 참여자들이 부부끼리 함께 자는지 여부, 행복, 삶의 만족도, 성취도 등 심리적 웰빙 수준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각각 다른 방에서 잔 부부가 같은 방에서 함께 잔 부부보다 심리적 웰빙 수준이 낮았다. 이는 나이, 신체 건강, 과거 부부 관계, 갈등 등의 변수를 고려한 뒤에도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부부의 잠자리 배치가 수면 공간의 물리적 거리뿐 아니라 관계, 친밀감 등 정서적인 거리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함께 자는 동안 이뤄지는 스킨십 등은 옥시토신 분비량을 늘려 스트레스 호르몬을 낮추고 안정감을 높여 감정 조절, 수면 질 향상에 이롭다는 설명이다. 연구를 주도한 웬디 트록셀 박사는 “부부가 함께 자면 서로 수면 리듬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해 수면 질을 높이며 수면 질 향상은 결국 심리적 웰빙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단, 이번 연구 결과를 부부끼리 무조건 함께 자야 한다는 결론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만약 함께 수면하지 않는 이유가 수면무호흡증, 불면증 등 수면 문제 때문인 경우에는 따로 취침하는 것이 수면 효율을 위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비엠씨 공중보건(BMC Public Health)’에 최근 게재됐다.
대만 타이베이 간호보건대 연구팀이 대만 북부에 거주하는 고령 부부 860쌍을 대상으로 수면 방식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설문조사를 통해 참여자들이 부부끼리 함께 자는지 여부, 행복, 삶의 만족도, 성취도 등 심리적 웰빙 수준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각각 다른 방에서 잔 부부가 같은 방에서 함께 잔 부부보다 심리적 웰빙 수준이 낮았다. 이는 나이, 신체 건강, 과거 부부 관계, 갈등 등의 변수를 고려한 뒤에도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부부의 잠자리 배치가 수면 공간의 물리적 거리뿐 아니라 관계, 친밀감 등 정서적인 거리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함께 자는 동안 이뤄지는 스킨십 등은 옥시토신 분비량을 늘려 스트레스 호르몬을 낮추고 안정감을 높여 감정 조절, 수면 질 향상에 이롭다는 설명이다. 연구를 주도한 웬디 트록셀 박사는 “부부가 함께 자면 서로 수면 리듬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해 수면 질을 높이며 수면 질 향상은 결국 심리적 웰빙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단, 이번 연구 결과를 부부끼리 무조건 함께 자야 한다는 결론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만약 함께 수면하지 않는 이유가 수면무호흡증, 불면증 등 수면 문제 때문인 경우에는 따로 취침하는 것이 수면 효율을 위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비엠씨 공중보건(BMC Public Health)’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