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기사 내용과 무관한 사진/사진=클립아트코리아
글로벌 제약사들이 국내 임상 연구에 투자한 규모가 처음으로 1조원대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는 국내에 진출한 협회 소속 회원사 33개 글로벌 제약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KRPIA 연구개발 및 투자현황 보고서’를 3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글로벌 제약사의 2024년 국내 임상 연구 투자 규모(해외 본사의 국내 직접 투자는 제외)는 약 1조369억원으로 전년 대비 18.8% 증가했다. 최근 5년간 R&D 투자 비용은 연평균 14.8% 증가세를 유지했으며, 이 중 임상 단계에서 쓰이는 의약품 개발 관련 비용이 전체의 42.9%(약 4452억원)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치료제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기준으로는 항암제 임상 연구가 974건(69.4%), 희귀질환 치료제 임상 연구가 184건(13.1%)을 차지했다. 최근 5년간 주요 임상 연구 대비 항암제 임상 연구는 연평균 5.7%, 희귀질환 치료제 임상 연구는 10.1% 증가했다.

작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수행된 임상 연구는 총 1691건으로 전년 대비 1.9% 감소했다. 다만, 최근 5년간으로 볼 때는 연평균 3.1%의 증가세를 유지했다. 1~3상 임상 연구 참여 환자 수는 2만2696명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했으며, 이 외에도 418명의 환자가 치료 목적 사용승인을 통해 임상 연구용 의약품을 투여받았다. 3상 임상 연구는 전년 대비 3.6% 증가한 667건으로, 각 단계별 임상 중 성장률이 가장 높았다.


R&D 활동 종사 인력은 총 2470명으로 전년 대비 7.4% 증가했으며, 2019년 이후 5년간 계속 성장세를 보였다. 이 중 임상 연구 인력이 절반 이상(52.6%)을 차지했다.

KRPIA는 우리나라가 세계적 수준의 의료 인프라와 높은 임상 참여율을 바탕으로 임상 연구 강국이 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최근 글로벌 임상 연구 점유율이 6위로, 서울의 도시별 임상연구 점유율이 1위에서 2위로 떨어지는 등 임상 연구 유치 경쟁이 심해지는 가운데 보완 과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KRPIA는 ▲임상 연구 참여 절차 간소화 ▲분산형 임상 연구 제도화 ▲혁신 신약 급여·약가 제도 개선 등을 과제로 꼽았다.

KRPIA 관계자는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제약사들의 국내 R&D 투자 확대와 공동연구 활성화를 통해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에 기여함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한국이 보유한 연구 인프라와 인재 역량을 기반으로, 환자들이 혁신 치료제에 보다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나아가 명실상부한 글로벌 임상·R&D 허브로 도약해 나가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미지
사진=KRPIA 제공